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42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의 공식'을 찾는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8.12.01
만들고 있다. 전기완 선임연구원은 “불과 10초 이내에 100장 이상의 영상에서 타원
모양
의 경동맥 혈관만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며, “다음 단계로 수학 모형을 적용해서 혈관에서 혈액과 혈관을 분리해 혈관이 얼마나 좁아졌는지 그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만들 ... ...
오토바이를 공격한 소
팝뉴스
l
2018.11.30
가는 남자를 들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감히 자기 영토를 침범한 것을 용서할 수 없었던
모양
이다.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던 남자는 깜짝 놀라고 공포에 떤다. 소가 공격을 멈추지 않아서 더 무서울 수밖에 없었다. 나무 위로 올라갔지만 소는 곁에서 지킨다. 내려오기만 하면 강력히 ... ...
항암 신약, 쉽고 빠르게 효과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균일한 크기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다세포구란 암세포가 공
모양
으로 뭉쳐있는 상태로, 암 치료 약물을 실험하는데 유용하다. 하지만 높은 신뢰성을 가지려면 균일한 크기로 형성해야 하는데, 이를 대량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 ...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바꿀 수 있다. 엔진은 원통형으로 내부에 고체연료를 채운다. 가운데는 원통형
모양
으로 비어 있다. 비어 있는 공간에 불을 붙이면 안쪽 고체연료부터 연소하며 발생한 가스가 배출돼 추력을 얻는다. 고체연료는 만들기 쉽고 값이 저렴하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하지만 불이 한번 붙으면 멈출 수 ... ...
빛이 내는 소리로 건강검진… ‘광음파 영상기술‘ 실용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1㎚은 10억분의 1m)인 빛을 증폭시켜 그 효율을 한층 높이는 ‘Bi2SE3’란 이름의 원판
모양
나노판을 제작했다. 이 나노판을 관찰하고자 하는 조직 사이에 설치해두면 X선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장치의 조영제처럼 이미지를 선명하게 한다. 연구진은 인체 조직과 비슷한 닭가슴살을 이용해 ... ...
액정 ‘결함’ 이용해 고성능 센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이유로 반복적인 모자이크 구조가 형성되는 일이 의외로 많다. 나뭇잎의 잎맥, 벌집의
모양
이 그런 사례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자연현상을 초소형 액정물질 위에서 인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고효율 디스플레이나 광학센서 , 초정밀 반도체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배 나온 아이의 후회”
팝뉴스
l
2018.11.26
것 같다. 사진 아래에 씌여 있는 글을 보면 맛있는 타코를 많이 먹어서 몸매가 이렇게 된
모양
이다. 이 사진이 왜 인기일까. 야식을 먹고 나온 배를 만지며 후회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대변하기 때문일 것이다. 사진 속 아기가 누구이고 어떤 상황에 촬영된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 ... ...
“시각장애인도 별자리 알 수 있게 만든 ‘점자 천구의’에 감동”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도쿄 국립과학박물관 1층 구석에 전시된 작은 천구의(하늘의 별자리가 표시된 지구본
모양
의 기구) 앞에서 발걸음을 떼지 못했다. 언뜻 보기엔 주변의 다른 천구의와 구별이 안 되는, 평범한 기기였다. “표면에 점자가 있어요. 맹인(시각장애인)이 별자리를 알 수 있게 배려했네요.” 배 양이 ... ...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2018.11.25
22’에도 피타고라스의 세 수가 기록돼 있습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점토판에 쐐기
모양
으로 설형문자를 새겨 기록을 남겼습니다. 숫자는 60진법으로 표기했지요. 플림톤 322에도 60진법으로 기록한 숫자가 줄지어 나타나 있는데요, 처음에는 여기 적힌 숫자의 의미를 전혀 몰랐습니다. 그저 ... ...
[암호기술 혁명]③생체정보 철벽 보호하며 2.5초 만에 신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홍채는 생후 18개월에 완성돼 변하지 않는 안정적인 생체 정보인 동시에 지문 패턴보다
모양
이 더 다양해 인식률이 높다.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해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또 적외선을 눈에 비춰서 홍채를 촬영한 뒤 인증하는 방식이어서 눈을 찍은 사진으로는 홍채인증을 통과할 수 없다.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