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스페셜
"
인간
"(으)로 총 2,0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수중탐사는 언제 시작됐을까?
KISTI
l
2013.06.05
동안 그의 곁을 지키며 책을 펴낸 동료 이브 파칼레는 그의 명언을 이렇게 기록한다. “
인간
에게 생명이 주어진 이유는 시도해 볼 가치가 있는 모든 일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서다. 이 세상을 떠나면서 아무런 후회를 남기지 않기 위해 나는 몸과 마음을 다 바쳤다.” 글 : 임동욱 ... ...
대기 중 CO₂ 농도 400ppm, 지구 온도에 빨간불!
KISTI
l
2013.06.03
높아지다가, 최근 10여 년 동안에는 매년 2.1ppm씩 높아지고 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등
인간
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CO₂ 농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지구 온도도 높아지고 있다는 걸 잘 보여주는 ‘지구 상태의 진단서’인 셈이다. [그림] 미국 하와이의 마우나 로아 관측소에서 대기 중 CO₂농도를 ... ...
[채널A] “줄기세포 논문 조작 의혹” 미국판 ‘황우석 사건’ 되나
채널A
l
2013.05.29
과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녹취: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 미 오리건 보건과학대 교수]
인간
의 난자와 환자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매우 효율적으로 줄기세포를 만들어냈습니다. 미국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한 건 지난 15일. 세계적인 생명과학 학술지 ... ...
감시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테크놀로지
KOITA
l
2013.05.28
예나 지금이나 감시와 첩보의 가장 중요한 관건이다. 과거의 감시는 아주 단순했다.
인간
의 오감이야말로 자료를 찾아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었다.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면서 체험한 사실은 충분히 믿을만한 정보였고 이를 바탕으로 결정권자는 필요한 판단을 내릴 수 있었다. 가장 확실한 정보는 ... ...
질내균총과 자궁경부암 상관관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5.24
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일란성쌍둥이를 대상자로 한 연구방식은
인간
의 유전적 요인을 배재하고 관련 인자를 규명하는 최상의 연구방식으로, 본 연구의 결과 고위험성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및 자궁경부암 환자에게서는 스니치아(Snethia spp.) 미생물이 증가하는 반면 정상균총인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동물의 예를 설명하면서 사람만이 정크DNA가 쓰레기가 아닌 예외적인 존재라는 건 ‘게놈
인간
중심주의(genomic anthropocentrism)’이라고 꼬집었다. 즉 폐어의 경우 게놈 크기가 무려 1300억 염기쌍으로 사람의 40배에 이르는 반면 같은 어류인 복어는 4억 염기쌍도 되지 않는다. 즉 사람의 정크DNA에 의미를 ... ...
[채널A] 美, 배아줄기세포 복제 첫 성공…맞춤형 치료 ‘청신호’
채널A
l
2013.05.19
추출하는 데 성공한 겁니다. [인터뷰: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 미 오리건 보건과학대 교수]
인간
의 난자와 환자의 피부세포를 이용해 매우 효율적으로 줄기세포를 만들어냈습니다. 배아줄기세포는 인체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 난치병 치료제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고장 난 세포 대신 ... ...
거품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인간
은 표면에 머무르기를 좋아한다. 왜냐하면 표면에 머무른다는 것은 보다 적은 노력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 바실리 칸딘스키 언어는 우리가 세상을 지각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예전에 한 책에서 읽은 건데 우리나라 말이 속해있는 알타이어에는 ‘녹색’을 나타내는 단어가 없다고 ... ...
한국의 태양 KSTAR를 만드는 사람들_김재현 박사를 만나다
KAIST
l
2013.05.15
수 있다. KSTAR는 이 지속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초전도체를 사용하였다. 물리학에서는‘
인간
의 수명은 100년’과 같은 기본 단위가 있다. 핵융합분야의 핵융합지속시간의 경우 기본 단위는 50초 정도다. 그런데 KSTAR는 이를 훨씬 웃도는 300초를 목표하고 있다고 한다. 또 다른 핵융합로 성능 평가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
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자연을 모방한다는 게 자연에 대한 항복선언 내지는
인간
이 구축한 공학 지식이 쓸모없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애초에 과학은 자연을 이해하고 공학은 자연을 모방하려는 학문이었다. 따지고 보면 자연은 38억 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주어진 환경에서 최적의 효율을 ... ...
이전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