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3,312건 검색되었습니다.
곧프레이 하디의 어느 수학자의 변명(A Mathematician's Apology)
과학동아
l
200011
큰 일반성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참된 수학은 전쟁에 자주 사용되는 과학처럼
인류
문명을 향한 파괴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함께 펼치고 있다.참된 수학과 사소한 수학의 차이하디는 수학을 크게 두가지로 구분한다. 다시 말하면 참된 수학(real mathematics)과 사소한 수학(trivial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10
황금종 개구리 한마리 때문에 대형공연장 공사를 중단한 올림픽당국.9백만t의 쓰레기 위에 건설된 주경기장.매년 1백만kW이상의 전력을 생산하는 ... 따라 시드니 올림픽이 완벽한 '그린올림픽'으로 치러질 수 있었다.가난해서가 아니라
인류
의 미래 때문에 그들은 재활용을 선택한 것이다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10
지나는 길인 황도 상에 위치한 12개 별자리를 말한다. 이들 별자리는 12개밖에 없는데
인류
의 1/12이 모두 같은 운명이라는 것일까. 그렇게 잘 맞을 것 같지 않은데도 많은 사람들이 꽤 열심히 보는 것 같다.가을밤하늘에서도 황도 12궁을 여럿 만날 수 있다. 때늦은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맑은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10
할만한 작품이 바로 라마와의 랑데부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외계 우주선은 기본적으로
인류
가 우주 궤도에 건설하려는 우주 식민지 모델과 많이 닮아 있다. 수십 km 길이의 거대한 원통이 자전하면 안쪽 표면엔 원심력에 의한 인공중력이 생기므로, 작품에 묘사된 것처럼 호수나 도시 건설이 ... ...
양자역학의 해석
과학동아
l
200010
어려운 문제라는 점에서 더 흥미로울지도 모른다. 이 문제에 골몰함으로써 우리
인류
가 사고하는 방식과 이론의 구조 같은 문제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10
따라서 현재까지 양자론은 추호도 그 한계를 의심할 여지가 없는 완벽한 이론이다.
인류
의 과학기술은 매우 작은 소립자의 크기에서 우주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했지만 양자론에 어긋나는 단 한가지 실험도 존재하지 않는다.그렇다면 한계는 없는가. 이론물리학자들은 양자론에도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10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록 그 결과가
인류
에게 재앙을 가져다 줄 수도 있겠지만 자신은
인류
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상식이란 우리가 자라면서 익숙해진 편견의 다른 이름일 뿐”이라며 상식을 깨는 새로운 이론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험을 통한 검증이 ... ...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과학동아
l
200010
1세기에도 계속해서
인류
의 빛나는 지적 유산으로 남게될 책, '과학혁명의 구조'.여기서 저자는 한 시대의 과학은 당대의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인식체계인 패러다임에 의해 규정되며,기존의 패러다임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될 때 과학은 그 근본부터 완전히 바뀌는 혁명적 변화를 경험한다고 ... ...
게놈기능제어연구단
과학동아
l
200010
gene)와 염색체(chromosome)의 복합어로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전체 유전 전보를 의미한다.
인류
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건강한 지구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생명과학의 목표다.이런 바탕에서 출발한 게놈 연구는 초기에 유전자 하나하나를 분석하는 방식에서 시작했다.최근에는 전체 유전자를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
과학동아
l
200010
태양중심설을 주장했다.이로부터 약 4백년이 흐른 20세기초 허블(Edwin Hubble,1889-1953)은
인류
우주관에 '제2차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 할 수 있는 혁명을 일으킨다.혁명의 내용은 간단하다.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님을 코페르니쿠스가 밝혔듯,허블은 '우리은하'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 수많은 다른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