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297건 검색되었습니다.
담배 오래 피울수록 치매 일찍 온다
동아일보
l
2015.08.25
1세(평균 64.9세)로, 치매 검사에서 문제가 없다는 판정을 받은 ‘인지 기능 정상 상태’의
사람
들이다. 겉으로 나타나는 모습에서는 특별한 문제가 없었지만 흡연자 그룹(128명)의 경우 비흡연자 그룹(270명)에 비해 대뇌피질 두께가 얇은 것으로 측정됐다. 비흡연자 그룹의 대뇌피질 두께가 2.92∼3.1 ... ...
싱글 족의 반론 ‘걱정마, 난 행복해’
2015.08.25
실선) 혼자 살 때와 타인과 함께 살 때의 만족도 차이가 크지 않다. 반면 강한 목표접근
사람
의 경우(오른쪽 그래프 실선) 타인과 함께 할 때 삶의 만족도가 월등히 높아진다. - 사회심리학과 인성과학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안 듣는 상황에서 아르테미시닌은 소중한 약이지만,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가난한 나라
사람
들이 쓰기에는 비싼 약이다. 아르테미신은 탄소 15개로 이뤄진(이를 세스퀴터펜이라고 부른다) 그리 크지 않은 분자이지만 구조가 꽤 복잡하다. 물론 화학자들은 1983년 이미 아르테미신 전합성(total synthesis ... ...
기억보다 망각이 중요한 이유
2015.08.23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특히 생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어떤
사람
은 부정적인 생각만 머릿속에 가득 채우고 살아간다. 부정적인 생각이 뇌와 인생을 지배하는 것이다. 저자는 뇌에서 부정적인 생각을 몰아내고 자신의 뇌에 대한 지배권을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렇게 ... ...
‘더러운’ 다이아몬드에 담긴 지구
2015.08.23
낯선 물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눈썰미가 좋은
사람
은 표지를 보고 줄에 매달린
사람
을 찾아냈을 것이다. 생태학자 로만 다이얼이 나무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나무에 오르고 있는 모습이다. 21일자 사이언스는 인간이 유발한 환경 변화가 전 세계 숲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 ...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토마토의 향을 더 풍부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연구팀은 토마토의 향이
사람
들이 느끼는 달달한 맛을 결정하는 데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냄새 분자가 공기 중으로 퍼지며 혀가 아니라 코로 토마토의 단맛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 새빨간 색에 속지 말자 새빨간 ... ...
사우디 메르스 환자 급증… 중동 여행 주의를
동아일보
l
2015.08.21
통해서 상담을 받으라고 권고했다. 한편 7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중동지역에서 입국한
사람
중 메르스 의심 증상을 나타낸 사례는 총 38건이었다. 이 중 36건이 음성으로 판정됐고 2건은 현재 검사 중이다. 이지은 기자 smiley@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 ...
어디까지 소름 돋았니? 전자피부에 물어 봐
2015.08.21
사용된다. 기계가 느낀 감각을 전자피부를 통해
사람
에게 그대로 전달하거나 반대로
사람
의 움직임을 기계가 그대로 따라 할 수 있게 만든다.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2010년 나비가 살포시 내려앉았을 때 생기는 미세한 압력까지 느낄 수 있는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또 압력이 수직뿐 ... ...
수질 감시에는 ‘깡통 로봇’이 장땡
2015.08.21
수백 대가 한꺼번에 토네이도에 휩쓸려 하늘로 올라가면서 지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했고,
사람
이 직접 측정할 수 없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성공적으로 임무를 마쳤다. ● 한국형 ‘센서 로봇’ 상용화 임박 국내에서도 센서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최현석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 ...
과학 소재로 전 세계 오지 탐험하는 괴짜 예술가
2015.08.21
‘과학’을 테마로 삼느냐는 질문에 “지구 곳곳을 표현하고 싶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사람
이 살아가는 땅, 척박한 지구의 자연현상에 매력을 느껴 이를 작품으로 만들다 보니 결국 과학과 관련된 작품 활동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졌다는 것이다. 릴릴 씨는 최근 지구 탄생의 신비로 눈을 돌리고 ... ...
이전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