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3,6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6
박사후 연구원2001-2002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재료학과 초청교수2001 과학기술부 이
달
의 과학자상 수상2004 제3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선정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표면그룹 책임연구원현재 나노바이오측정제어기술사업단 단장나노로 본다구?최근 TV에서 나노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 ...
"모터 없이
달
리는 자동차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6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교내 선생님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요.그리고 오는 4월‘과학의
달
’을 맞이하여 전교생이 참여하는 과학실험 및 마술대회를 열어 어린이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기르게 할 예정이랍니다. 또한 5학년 과학수업에서는 미국의‘GEMS(수학 과학의 대탐험)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06
판명된다면 그건 20년 전에 남보다 먼저 먹으려고 불그스름한 삼겹살을 먹은 탓이지, 몇
달
전에 가족끼리 먹은 삼겹살 때문은 아니다.그러니 안심하시라. 삼겹살은 적당히 익었을 때 먹어도 된다. 탄 걸 먹으면 암에 걸린다는 말도 있는 만큼, 멸종된 갈고리촌충에 대한 지나친 공포는 스스로의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06
소뇌(小腦) · 척수 · 후각 · 흑질(黑質) · 해마 등에 많이 존재하는 억제성 신경전
달
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아미노산을 생산물로 하는 호기적 발효(好機的醱酵) L-글루타민산 발효가 1956년 일본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개발되었고 그 외에 리신발효 · 오르니틴 발효 등이 알려 졌다 아닐린알데히드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06
수 있었다. 이준규는 서리에게 “이춘경의 칼을 숯불에
달
구라”고 명했다. 칼이 벌겋게
달
아오르자 준비한 초(醋)를 그 위에 들이부었다. 그러자 ‘치지직’하는 소리가 나면서 칼에 선명한 혈흔이 나타났다. 이 광경을 보던 이춘경은 드디어 입을 열어 살인을 자백했다. (‘검안’에서 내용 발췌 ... ...
수성, 금성, 토성이 한 자리에
과학동아
l
200506
수성과 금성이 가장 가까이 근접하는 때는 28일로 불과 4분각 만큼 떨어진다. 4분각이면
달
시직경의 1/7 정도에 불과한 가까운 거리다. 맨눈으로 보면 초저녁에 두 별이 흡사 붙은 듯 보일 것이다. 다만 금성이 너무 밝아서 수성이 그 빛 때문에 보일 듯 말 듯 하겠지만.토성은 점차 서쪽 지평선으로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06
성인병 예방치료 기술 실용화 201456 무균 물탱크와 바이오파이프 개발 201457 고분자 약물전
달
소재기술 개발 201558 감염성 질환 예방과 치료백신 개발 201559 고정밀 측지기술 실용화 201360 초전도체 이용 MRI, 뇌자도, 심자도 등 보급 201361 자연정화능력 향상기술 보급 201562 사막화 감시기술 실용화 201463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06
“양자역학은 ‘색즉시공’과 같습니다.”울긋불긋 봄꽃이 활짝 핀 고려대 교정에서 만난 양형진(48) 교수가 선문답 같은 말을 던졌다. 혹시 몇 년전 개봉한 ... 갔다고 위대한 것이 아닙니다. 인류는 굶주림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의 공존을 깨
달
은 유일한 동물이라는 점에서 위대한 겁니다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05
달
팽이에게로 돌아간다.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생물학 권위자인 에릭 칸델 교수팀은 바다
달
팽이 군소에서 학습에 관련된 신경세포와 시냅스를 찾아냈다. 또 인위적으로 운동신경세포와 감각신경세포를 연결시켜 시냅스를 만들어 학습과 기억이 일어날 때 분자수준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일들을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05
다른 별들과
달
리 움직이기 때문이다. 소행성들은 충의 위치에 있을 때 대략 하루 사이에
달
시직경의 절반만큼 이동을 한다. 작은 거리가 아니므로 하루 이틀이면 그리 어렵지 않게 그 움직임 폭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