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자아
자의식
자신
스스로
d라이브러리
"
자기자신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11
1905년 특수상대성에 이어 1915년 세상에 태어난 일반상대성은 자체 이론의 탁월성에도 불구, 빛을 보지 못했다. 이를 만들어낸 아인슈타인 조차 우주항이라는 엉뚱한 상수를 집어넣어 그 의미를 퇴색시켰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팽창우주론과 대폭발이론 등 각종 우주론에 적용돼 각광 받고 있는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11
그 이름만 들어도 개미들은 오금(?)이 저린다. 힘도 힘이지만 지략마저 탁월하니…문제(1) 올빼미는 밤에 활동한다. 이들은 어떻게 하여 어두운 밤에 먹이를 잘 잡을 수 있을까?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눈이 매우 좋아서 밤에도 잘 볼 수 있다② 귀가 매우 밝아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다.③ 후각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10
한때는 포식 피식관계였다가 구원(舊怨)을 청산하고 공생관계로 돌아선 생물들이 자연계에는 허다하다.공생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곧 개미와 진딧물의 관계를 연상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진딧물은 열심히 수액(樹液)을 빨지만 거기서 얻은 당분은 진딧물에게 그리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 ... ...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과학동아
l
199110
언어학만으로는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에 유전학자 해부학자들이 도전하고 있다.언어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어떤 변천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을까.'인류의 발생'만큼이나 오랫 동안 인류에게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있는 '언어의 발생'문제는 오늘날 과학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새롭게 조명되고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10
타이프라이터를 이용, 최초로 소설을 쓴 사람은 마크 트웨인이었고 그 작품은 「톰 소여의 모험」이었다.타자기로 시를 쓰는 시인을 상상해보면 어쩐지 이상하다. 흔히 TV에서 고뇌하는 문학가를 묘사하는 장면에 등장시키는 것은 구겨진 원고지 뭉치다. 그러나 이러한 장면도 시대가 바뀜에 따라 ...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10
패러데이는 전류의 유도작용과 전기분해의 법칙을 발견했고 맥스웰은 패러데이의 개념을 수학적으로 이론화했다. 맥스웰은 오늘날 '전자'라고 불리는 작은 입자의 존재도 가정했는데…대학시절 어느 선생님으로부터, "과학기술을 창조하는 사람과 그것을 누리는 사람은 다르다"는 말씀을 들은 적 ... ...
자외선으로 당뇨병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110
인슐린 제조공장인 베타세포를 죽이는 T세포를 무력화시킴으로써… 호주 멜버른에 사는 8명의 당뇨병 환자는 요즘 마음이 무척 가볍다. 몸에 부담이 적지 않았던 인슐린을 조금만 복용해도 당뇨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대신 그들은 자기 피로 만든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10
우주의 시작은 있는가? 그렇다면 우주의 종말도 있어야 하지 않는가? 이러한 질문에 현대물리학은 어떤 답을 준비하고 있을까?우리의 생활 구석구석에 지대한 영향을 준 물리학의 현주소를 알려고 하는 사람들을 위해 물리학이 현재 어느 정도 발전하고 있으며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분야별로 나누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09
초승달에서부터 보름날에 이르기까지 월령에 따른 달여행을 즐겨보자.우리가 밤하늘에서 유일하게 맨눈으로 표면을 볼 수 있는 천체가 달이다. 또한 달은 우리 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약 28일의 주기로 모양을 달리하기 때문에 시간을 구분하는 척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또한 인간의 향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09
제 32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한국의 수학두뇌들을 이끌고 참가한 대표단 단장의 참관기수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을 조기에 발굴해 격려하고, 저변 확대를 통한 수학발전을 꾀하기 위해 시작된 IMO(International Mathematlcal Olympiad)가 스웨덴에서 올해로 32회를 맞았다. 대회기간중 각국의 수학교육방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