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아직도 논란중 그렇다면 남획은 비단 한국만의 문제일까. 이 박사는 “아니다”고
얘기
한다. 현재 전세적으로 남획은 큰 골칫거리다.올해 유럽연합(EU)는 대서양의 대구 잡이를 금지하는 모라토리움을 선언했다. ‘대구의 전쟁’ 이라는 책이 등장할 정도로 대서양 대구의 고갈이 심각한 상태다.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기미와 검버섯 같은 피부잡티 역시 서양인에 비해 우리나라 사람이 훨씬 심하다고
얘기
했다. 그러나 이 점에 대해서 기자는 동의하기가 어려웠다. 백인에게 주근깨 같은 잡티가 더 많지 않은가.이에 대해 태평양 기술연구원의 이병곤 박사는 “백인의 잡티는 주근깨로, 선천적인 영향이 크다. 그래서 ... ...
(주)코캄엔지니어링 대표 홍지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스스로 정립하지 않으면 해외 출장길에 만나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에 대해 제대로 해 줄
얘기
가 없다는 생각 때문이다.리튬이온폴리머전지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력을 전세계에 과시한 홍 대표는 이제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릴 문화 ‘홍보대사’ 로서도 손색이 없다. 대한민국에 대한 애정으로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잘 어울리는 곳은 어디일까? 바로 저온공학 연구실이다. -1백50℃, 극저온, 냉동 보존.
얘기
만 들어도 한여름 무더위가 싹 달아난다. 하지만 정작 저온공학 연구실의 정상권 교수와 석박사 과정 학생들은 여름을‘이열치열’로 이겨내고 있다.“저온공학 연구실에서는 열정을 가진 자만이 ‘얼지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작은 문제들이 있으면 주저없이 센터의 문을 두드리라고
얘기
한다. 그런 다음 내년부터 점차 제도화의 기틀도 마련할 예정이다.시민참여연구센터는 개소 한달이 채 못됐지만 이미 10여개의 과제를 의뢰 받은 상태다. 이 중 대전 1·2공단 환경 개선 사업은 한창 진행 중이다. ... ...
우주의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땀이 주르르 흐르게 하는 무더위를 날려버리는데는 시원한 바람도 좋지만 오싹한 귀신
얘기
만한 게 없다. 우주에도 귀신이 살고 있을까. ... 흩어져 버릴 테고 중심부의 자그만 백색왜성은 10억년 동안 서서히 식어갈 것이다. 귀신
얘기
처럼 섬뜩하지만 아직 먼 훗날에 벌어질 사건일 뿐이다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트림을 하루에도 1.5L 콜라병 5개쯤 뿜어대는 동물에게 ‘용 되는 설정’ 은 영 엉뚱한
얘기
가 아니다. 개 입 속에 트림이 분사되는 노즐이 있어 짖을 때마다 입에서 메탄가스를 뿜어낸다면 가능할 수 있다. 또 개의 앞니 끝에 전기뱀장어나 가오리가 가지고 있는 전기 발생 구조를 달아준다면 개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과학책을 읽으며 자기 나름대로의 글을 써보는 기회를 마련했으면 했죠. 출판사와
얘기
했더니 5-6군데 출판사에서 흔쾌히 지원하겠다고 하더군요.”이렇게 해서 과학 글쓰기 동아리 ‘꿈꾸는 과학’ 이 탄생했다. 이 모임은 현재 2년째로 20여명의 대학생들로 이뤄져 있다. 이들은 비슷하면서도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삶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행복해질 때 가장 이상적인 웰빙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
다. 문명의 성장을 앞당겨 온 과학기술이 주목해야 할 부분이 바로 이 대목이다.과학동아는 개인은 물론 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실현시켜줄 미래의 10가지 기술을 선정했다. 맑은 공기를 쐬려고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만의 소리는 아무리 오래 들어도 우리에게 해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90dB 이상이 되면
얘기
가 달라진다. 이 정도 크기의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청력이 차츰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로 젊은층이 선호하는 MP3 플레이어나 일부 휴대전화들은 볼륨을 최대로 높일 경우 1백dB 이상의 소리를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