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지"(으)로 총 2,5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2017.07.05
- 비고츠키는 아이가 혼잣말을 통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받고 이 과정에서 인지능력이 발달한다고 주장했다. 즉 아이는 혼잣말을 통해 해야 할 행동을 스스로 안내하고 통제한다는 것이다. 주어진 과제가 어려울수록 혼잣말의 빈도도 높아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다 나이가 들면서 ... ...
- IBS, 9개 연구단 대상 첫 연구성과 평가 착수동아사이언스 l2017.07.02
- 분야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KAIST 생명 RNA 연구단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생명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희섭 IBS 본원 및 KAIST 생명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 유룡 KAIST 화학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노태원 서울대학교 화학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김기문 POSTECH 화학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 ...
- '핵비확산, 핵안보' 신뢰를 위해 소통하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동아사이언스 l2017.07.01
- 규제저항성을 저감하는 데, 유관기관에는 우리 기관이 하고 있는 일과 성과를 알려서 인지도를 높이는 데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올해는 예정되어 있는 홍보 활동에 최선을 다해 대응하고, 내년 즈음에는 고객 대상군 정의가 수정될 필요가 있는지, 방법이 바꿔야 되는지에 대한 고민을 좀 더 하게 ... ...
- 기술은 장애를 어떻게 볼까2017.06.30
-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아주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구글도 이번 구글I/O를 통해 인지 컴퓨팅 기술을 극단적으로 활용한 ‘구글 렌즈’를 발표했지요. 이를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기술로 가다듬으면 그리 어렵지 않으면서 저렴한 도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거창한 일을 벌이는 것이 아니라 이미 ... ...
- 뇌과학과 피아노의 만남? 색다른 과학강연 ‘사이언스바캉스’과학동아 l2017.06.28
- 최종 9인에 든 재능 있는 과학자. 이번 사이언스바캉스의 오프닝 강연을 맡아 뇌인지과학과 음악이 결합한 독특한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전 9~10시. 피아노 연주하는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 - 장동선 제공 2. 현실적 공학자/과학자 vs. 상상력 가득한 SF/미술작가 올해 ... ...
- 언어능력 결정짓는 유전적 요인, 뇌신경세포 밖에도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8
- 밝혔다. 이 박사는 “그동안 성상세포는 비신경세포이기 때문에 뇌의 고등인지기능과의 연관성에 관해서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다”며 “학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분자정신의학’ 2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 아빠의 육아 참여, 아이 비만 예방한다2017.06.25
- 하고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왜 유독 아빠와의 시간이 아이의 비만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인지 정확히 확인할 길은 없었습니다. 엄마보다 힘이 강한 아빠의 양육법이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닌가 추정할 뿐인데요.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를 두고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아빠의 육아 참여만을 ... ...
- 시간과 공간을 함께 찍는 레이어드-포토팝뉴스 l2017.06.24
- 있는 시간과 공간을 채우는 거지요.” 나카니시의 말은, 결국 감상하는 이의 능동적 인지활동이 결국 작가의 레이어드-포토보다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 [돈테크무비] ‘옥자’, 극장 시대 종말을 알리는 전령사? 2017.06.24
- 투자하여 좋은 평가를 받자, 한국에서만큼은 극장 개봉을 통해 이슈화하면서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을 선택한 것이다. 반면 멀티플렉스 업체들은 극장과 다른 매체 사이 콘텐츠 공개 시점에 차이를 두는 이른바 ‘홀드백’ 기간이 전혀 없이 넷플릭스와 동시에 개봉하는 것은 받아들이기 ... ...
- 빛을 이용한 단백질 활성화 속도 10배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광(光)유전학’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여 줄 전망이다. 허원도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청색광에 반응하는 단백질인 ‘크립토크롬2(CRY2)’의 일부 구조를 변형해 ‘CRY2클러스트’를 개발, 기존 대비 10배 빠른 반응속도로 단백질 ... ...
이전1941951961971981992002012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