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실에서 문을 열고 피해 아이들에게 전자의수를 만들어 주기 시작했다. 돈이 되는 분야가 아니므로 사업을 유지하기 쉽지 않았다. 하지만 많은 생체공학자들이 그렇듯, 이들도 돈보다는 장애인이나 환자 돕기를 택했다. 40여 년 뒤, 이들은 축적된 기술을 이용해 ‘아이림(i-LIMB)’이라는 이름의 ...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분석해 보면, 한반도는 최대 규모 6.7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지난 10월 8일, 서울 용산 동아 ... 받은 분야인 분자기계의 대가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참여한다 ...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연구자들보다 50~60대 연구자들이 더 많습니다(시베리아 지역 쪽에 몰려 있는 항공기술 분야 연구소는 분위기가 조금 다르다고 하지만요).여행에 식도락이 빠질 수 없겠죠. 연구소 안에 작은 식당에선 두툼한 고기를 튀긴 커틀렛과 감자를 삶은 뒤 으깬 퓌레를 팝니다. 한국의 김치찌개, 된장찌개처럼 ...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 장치는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4D 영화관과 화장품, 방향제,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문 교수는 “사람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유발하는 화학성분을 제어하거나, 사람들이 좋아하는 향기에 섞인 유해물질을 다른 성분으로 대체하는 데에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융합 ...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고독한 육상 선수를 찾는 외로운 주자 추측수학동아 l2016년 11호
- 6월 수학계에는 한바탕 소동이 있었습니다. 한 수학자가 달랑 하루 만에 정수론 분야의 40년 난제를 풀었다면서 인터넷에 논문을 공개했다가 오류가 있다며 철회한 일입니다. 수식 마지막에서 아주 사소한 실수를 했고, 이것이 증명을 송두리째 틀리게 만든 겁니다. 대체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요? ... ...
-
- INTRO. 2016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수상이 유력한 노벨상 후보들을 발표했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올해는 노벨과학상 3개 분야에서 모두 빗나갔다.노벨물리학상은 초전도체와 초유체 같은 특이한 상태의 물질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위상수학 개념으로 밝힌 세 과학자에게 돌아갔다.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보다도 훨씬 작은 분자기계를 ...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맡았던 2007년 회의의 주제는 분자기계였다. 스토더트 교수, 페링하 교수는 물론 이 분야를 개척한 석학들이 토론을 이끌었다. 분자기계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필자도 초청돼 간단히 우리의 연구를 소개하고 토론에 참여했다.솔베이 콘퍼런스에서 ...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되고는 계획을 백지화한 에피소드가 유명하지요. 저는 ‘뉴로폴리틱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뇌공학과 현실정치를 연결하는 겁니다. 어느 정도 구상이 구체화됐을 때 박사과정을 그만두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논문으로 발표할 내용은 아니었거든요.”“전화 ... ...
-
- [수학뉴스] 걷는 테이블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체비쇼프의 네 다리로 걷는 기계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체비쇼프는 확률과 통계 분야에서 훌륭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입니다.스회블린은 “걷는 테이블은 기계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수제 가구”라며, “가구는 움직이지 못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게 만들어 생명력을 ...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알지 못하지만 그 정보를 어느 정도 믿는다. 누군가 잘못된 정보를 올려도 곧바로 이 분야에 대해 잘 아는사람이 보고 내용을 옳게 고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식을 나눠 만든 결과를 ‘집단지성’이라고 부른다. 경영학과 사회학은 물론, 생물학과 물리학 등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