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아직 어색한 남녀의 첫 데이트. 데이트 도중 여자 출연자가 남자 출연자의 팔꿈치를 살짝 잡아당겼다. 이 장면을 화면으로 지켜보던 전문가는 “팔꿈치에 신경이 적어 접촉에 둔감하기 때문에 부담 없이 유대감을 형성하기 좋다”는 일명 ‘팔꿈치 효과’를 설명한다. 최근 종영한 채널A 예능 프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기계에서 하얀 플라스틱이 스파게티 면발처럼 뽑혀 나온다. 바닥에 켜켜이 쌓이더니 신발의 형태가 된다. 아디다스가 5월 선보인 운동화 ‘알파엣지4D’다. 이 신발은 무려 ‘4D 프린팅’ 기술로 만들었단다. 액체 상태의 고분자 물질을 프린터로 인쇄한 뒤, 여기에 빛과 산소를 더하면 신발은 완벽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땀이 주룩 흐르는 무더운 여름날, 시원하고도 달달한 아이스크림이 구미를 당깁니다. 저 앞에 아이스크림가게가 보이네요. 바삭한 콘 모양 과자 위에 아이스크림을 빙글빙글 돌려 담았습니다. 아이스크림을 받자마자 한 입 베어 물었습니다. 그 순간 입 안이 꽁꽁 어는 듯한 시원함과 함께, 벨벳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과학 마술쇼를 준비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발톱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지난 3월 6일은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이었어요. 그런데 경칩 즈음이면 산 속에도 개구리를 닮은 식물이 나타나기 시작한답니다. 바로 ‘개구리발톱’이에요. 개구리발톱은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제주도에서 살고 있는 식물이에요. 3~5월 사이 하얗고 작은 꽃을 피우는데, 살짝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MRI 장갑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장갑.2. MRI 장갑을 착용한 왼손의 모습.3. MRI 장갑으로 왼손의 뼈와 근육. 관절을 촬영한
사진
.4. MRI 장갑을 착용한 채로 복숭아를 쥔 모습.5. 복숭아를 쥔 손을 MRI 장갑으로 촬영한
사진
.베이 장 미국 뉴욕대 의대 방사선과 선임연구원 팀은 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장갑 형태의 자기공명영상장치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 m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 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돼 지금까지 사용해온 1 A(암페어)의 정의는 모호하고 길었다. ‘무한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우주항공공학은 국가를 위해 존재합니다.”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에서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을 맡고 있는 여재익 교수는 우주항공공학전공을 소개해달라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공대의 특정 학과가 국가를 위해 존재한다니, 예상 밖의 답이었다. 교수는 “우주항공공학전공의 연구 주제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만화가의 머릿속에 들어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구경할 수도 있고, 만화 배경에 내
사진
을 합성할 수도 있었어요. 만화 그리기 체험 공간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마조와 새디 캐릭터도 그렸답니다. 한국만화박물관은 국내 최대 규모의 만화전문도서관으로 유명해요. 26만 권의 국내·외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도룡뇽의 크기에 맞춰 자란 게 아니라, 공여자인 큰 도룡뇽의 크기대로 자랐습니다(아래
사진
). 반대로 작은 도룡뇽의 다리를 큰 도룡뇽에 이식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리는 공여자인 작은 도룡뇽의 다리 길이만큼 자랍니다. 앞서 소개한 흉선처럼 도룡뇽의 다리 역시 주변 환경에 개의치 않고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