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국립보건원(NIH)에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배아 복제의
핵심
은 체세포의 유전자를 발생 초기로 돌리는데 있다. 연구팀은 이를 잘 활용하면 언젠가는 복제를 통하지 않고도 체세포 자체를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는 수정란 상태로 만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 역시 황 ... ...
빛의 변화에 따라 위치 표현하는 광마우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표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볼마우스와 달리 마우스 패드도 필요없다. 광마우스의
핵심
기술은 표면 이미지의 변화를 감지해 수치로 나타내는 부분이다. 이를 광학항법(optical navigation)기술이라고 한다. 보통 8백dpi(인치당도트수, dots per inch)해상도 정도면 쓸만 하다고 말한다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정보기기 제품 개발에 많은 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다한마디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프로그램을 커널(kernel) 수준에서 리눅스를 제어해 설계한 초소형, 초경량 운영체제를 말한다 소스코드가 공개돼 기술력만 있으면 원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무한한 가능성의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조사했습니다.고텀 박사 연구팀은 이른바 ‘이혼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이 공식의
핵심
은 대화 중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의 비율이었는데, 황금비는 5대 1이었다고 합니다. 만약 이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늘어나면 결혼생활을 지속하기 어려울 것이란 뜻이죠.연구팀은 4년 뒤 이 커플들이 ... ...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까지 침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나노입자는 초고속 컴퓨터와 효과적인 약물전달시스템 등 차세대 제품을 개발하는데
핵심
적인 재료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나노입자가 독성을 가졌을지도 모른다는 의문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이번 연구결과는 ‘흡입독성학’ 지에 발표될 예정이다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엄청난 힘의 원천인 기어박스와 기어변환 메커니즘도 슈퍼카의
핵심
부로 간주된다. 낮은 회전수에서 높은 토크를 일으키는 능력은 빠른 가속을 위해 필수적인 요건으로 통한다. 기어박스의 경우 고속 엔진과 연결돼 엄청난 힘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신뢰성 높은 윤활장치와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IT)부터 나노기술(NT)과 바이오기술(BT)까지 다방면의 기술들이 총망라된다. 이 가운데
핵심
은 모든 사물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기술, 모든 사물에 심어지는 극소형 컴퓨터, 그리고 단말기 기술이다.수많은 정보를 빠르게 전송하는 광대역망(브로드밴드), 어디서나 쉽게 접속하는데 필수적인 모바일 ... ...
물리학으로 풀어낸 물수제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위해 물리학자가 나섰다. 최근 프랑스의 연구팀이 밝혀낸 바에 따르면 물수제비의
핵심
은 돌이 수면을 치는 각도에 있었다. 그 ‘마법의 각도’는 바로 20˚ 였다.물수제비 뜨는 기계 프랑스 마르세유 비평형현상연구소의 크리스토프 클라네 박사와 리옹대의 리데릭 보케 교수 연구팀은 알루미늄 ... ...
세계 최대의 초호화유람선 퀸 메리 2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메리 2호의 등장은 호화유람선의 부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20세기초까지 배는 가장
핵심
적인 장거리 교통수단이었다. 이 때문에 크기, 속력 등을 경쟁하면서 눈부시게 발전했다. 그러나 비행기가 등장하면서 배는 장거리 여객수송에서 경쟁력을 완전히 잃게 됐다. 현재 여객을 수송하는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생명의 비밀 담은 최소 게놈 생명과학계는 지난 10여년간 눈부신 발전을 했다. 그 발전의
핵심
은 바로 유전자 연구였다. 미생물에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수백종의 생물들을 대상으로 게놈프로젝트가 진행됐으며 수많은 유전자의 기능이 하나하나 밝혀지고 있다. 게놈의 크기가 작고 생체대사가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