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d라이브러리
"
돌연변이
"(으)로 총 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유전은 관련이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인간에게 오른손잡이를 결정하는 D유전자와 그
돌연변이
인 C유전자가 있다고 한다. 이 유전자들이 자녀에게 발현될 확률은 각각 같지만, 흥미롭게도 C유전자는 오른손잡이 왼손잡이를 결정하는 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 즉 부모로부터 각각 D유전자를 ... ...
[통합과학] 유전정보의 변화와 표현형
과학동아
l
201009
#3을 적용해서 유전정보를 해석해야 한다. 해독틀 #3을 적용한 경우 다음의 세 가지
돌연변이
가 나타난다. 균주 1 : TCG → TTG은 세린 → 루신 균주 2 : ATC → ATT은 이소루신 → 이소루신 균주 3 : GCA → GTA 은 알라닌 → 발린 따라서 균주 2의 경우 DNA서열은 변했지만 아미노산의 변화가 없어 효소 A의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08
변이라는 다윈의 개념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들은 불연속적인 변이가 자연스러운 것이며
돌연변이
(또는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 새로운 유형이 언제라도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08
유전됨을 확인했기 때문이다.즉 어떤 유전자에 문제가 생길 경우 부모로부터 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받은 새끼는 식욕을 주체하지 못해 토끼로 착각할 만큼 살이 찌는 것이다. 이 가상의 유전자는 ‘obese(뚱뚱한, 줄여서 ob)’로 이름이 붙여졌다. 그 뒤 분자생물학이 발달하면서 많은 연구자들이 ob ... ...
한국 과학자, 난치성 ‘전립선암’ 치료 가능성 열어
과학동아
l
201007
결국 암 세포가 증식한다. 학계에서는 안드로겐과 안드로겐 수용체의 결합 부위에
돌연변이
가 생겨 안드로겐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암 세포를 증식시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명 박사와 동료들은 수용체 결합 부위 대신 수용체 자체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말단 도메인에 주목했다. ...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06
있다. 개인별 맞춤약물치료란 약물이 정상적으로 듣지 않는 환자의 유전자를 검사해
돌연변이
가 있는지 밝히고, 그 환자에게 알맞은 복용량을 찾아 적용하는 방법이다. 결국 약물의 부작용은 최소로 줄이고 효과는 최대로 높이는 셈이다. 그는 혈액을 뽑아 유전자 검사를 받은 뒤에야 왜 와파린이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06
거는 분야는 암 정복 분야인데, 여러 사람의 게놈을 비교하면 발병 초기에 공통적으로
돌연변이
가 일어나는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내 게놈을 분석한 결과 DNA에 변이가 일어났을 때 이를 복구하는 DNA 수리 유전자에 결함이 있고 항정신병약이 잘 안 듣는 유전자 ... ...
시간 흐르면 독한 암세포도 방심한다
과학동아
l
201006
나타난 결과로 보고 있다.세틀먼 교수는 “암세포가 약물에 저항성을 띠는 것은 단순한
돌연변이
가 아니라 암 세포들의 기본적인 특성일 것”이라며 “그 성질을 잘 이용하면 약물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연구팀은 실제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폐암 세포의 저항성 변화를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새로운 아미노산을 넣을 위치의 코돈을 앰버 코돈으로 바꿔줘야 한다. 이렇게 만든
돌연변이
tRNA(한쪽 끝에 넣고자 하는 아미노산을 붙인 상태)와 변형 mRNA를 번역이 일어나는 시험관이나 세포 안에 넣어준다. 리보솜이 변형 mRNA를 읽어나가다가 앰버 코돈 차례가 오면 거기에 짝을 이루는 변이 tRNA가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05
타첵 교수팀은 유전적으로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가계를 조사하다 이들이 per2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가족성 전진성 수면위상 증후군(FASPS)’라고 불리는 이 증상은 저녁 7시만 되면 잠이 쏟아지고 다음날 새벽 4시쯤 깬다. 다른 사람보다 일주 리듬이 3~4시간 앞당겨져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