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간
비품
가정
세대
살림살이
가재
집기
d라이브러리
"
가구
"(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못한 물이 도로 위에 넘실대고 차들이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1만
가구
이상이 침수됐으며 총 5만 441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2명의 안타까운 생명이 빗물에 사라졌다. 6시간 동안 광화문에 내린 비의 양은 242mm. 1년간 서울에 내리는 강수량의 18%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평화로운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공기를 더럽힌다? 한국건설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은 지을 때
가구
당 약 36톤의 CO2를 내뿜는다. 그렇다고 집을 짓지 않을 수는 없는 일. 이에 미국의 건축회사 필립스 디자인은 대기를 깨끗하게 하는 건물로 뒤덮인 도시를 제안했다.기후와 지리를 극복한다빈센트 폰테몬트리올 ... ...
Part 1. 꿀벌 여왕의 독백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협회는 98%가 죽어서 멸종 직전이라고 주장하고 있어요. 전국에 동양 꿀벌 농가는 3만
가구
인데 대부분 올해 양봉을 포기한 상태지요. 제가 살고 있는 경남 함양에도 작년에 벌통이 1만 2500통 있었는데, 한 통도 남지 않고 다 죽고 말았답니다.제 주인도 30년 동안 한 해에 많게는 500통이나 되는 벌통을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생기는 미생물 집합체인 생물막, 나무를 먹이로 이용해 나무로 만들어진 문화재와
가구
등에 막대한 피해를 끼치는 흰개미, 물고기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모두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어류행동을 연구하고 있다. 논 생태계 모델은 외부기관인 농촌진흥청 과제로 진행하는 별도 연구다.“자연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없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새 집 증후군’이다. 기둥에 칠한 페인트부터 벽지, 새로 산
가구
등에서 나는 시큼하면서도 지독한 냄새에 두통이 난다.그런데 최근 건축공학자들은 새 집뿐 아니라 오래된 집도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병든 집증후군’이라고 하는데, 집이 나이가 ... ...
전기 대신 ‘공기’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력 수요 급증에 대처할 수 있는 신개념 ‘공압 배터리’가 국내에 건설된다. 전기를 압축공기로 바꿔 지하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부족한 시 ... 현재 1MW의 전력을 저장했다 내보낼 수 있는 시험 시설을 제작 중이며 앞으로 3만 여
가구
가 사용할 수 있는 300MW 출력의 CAES를 개발할 계획이다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네 쪽을 접어 단추를 채우면 뭉툭한 디자인으로 변신한다.모양이 변하는 수준을 넘어
가구
로 역할이 바뀌는 가방도 있다. 미국 디자이너 닉과 보우 트린시아 형제가 만든 오픈에어는 노트북을 넣고 다닐 수 있는 가방이다. 긴 줄이 달려 있어 어깨에 걸거나 X자로 메기 좋다. 이 가방을 펼치면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맞혔네요. 오동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나무 중 가장 가볍고 약한 나무예요. 그래서
가구
나 악기를 만들 때만 쓰인답니다. 자, 그럼 다음 대결 장소로 가겠습니다. 경북 영주에 위치한 부석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된 목조 건축물 중 하나인 무량수전으로 유명하지요. 무량수전은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세계적 주간지 뉴스위크는 단돈 1달러에 팔렸다. 한국의 신문 구독자도 점점 줄어 전체
가구
의 10%도 신문을 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방송 뉴스의 시청률도 세계 어디에서든 급격하게 추락하고 있다.기술적 진보로 무한대의 채널이 가능한 상황에서 특정 채널이 시청자를 큰 폭으로 점유하는 일은 ... ...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IT강국의 힘올해 인구주택총조사 최대 이슈는 인터넷조사다. 전국 1888만
가구
중 약 836만
가구
가 인터넷으로 조사에 참여했다. 44%를 훌쩍 넘는 대기록이다. 이전 기록은 2006년 캐나다에서 세운 18%에 불과하다. 놀라운 사실은 우리나라 최초의 컴퓨터가 이 조사 때문에 도입됐다는 점이다. 1967년 당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