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하구, 산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하구는 강이 끝나는 곳이자 바다가 시작되는 곳이에요. 강과 바다가 만나 연결되는 곳인 셈이지요. 하구는 강물과 바닷물이 섞여 잔물결이 많이 발생하고, 물속 염분 농도의 변화도심한 편이에요. 또 강에서 흘러온 모래나 진흙이 하구 주변에쌓여 삼각주나 갯벌이 생기기도 합니다. 보통 ... ...
- 2배씩 커지고 작아지는 ‘음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가장 많이 보이는 콩나물 모양의 기호! 바로 음표예요. 타원이 위치한 곳에 따라 음의 높낮이가 달라지고, 타원 안쪽이 채워져 있는지 아닌지, 꼬리 모양이 어떠한지에 따라 박자★가 달라져요. 위의 그림에서 맨 위에 있는 온음표는 4박자 동안 소리를 내는 음표예요. 온음표의 절반인 2박자 동안 ... ...
- [도전! M 체스마스터] 둘 중 하나는 꼭 잡는다! 핀, 스큐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쓰는 전술이에요. 아래 오른쪽 그림에서 검은색 팀은 흰색 비숍의 공격을 피해 퀸을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고, 그럼 다음 차례에 룩은 반드시 잡히고 말지요 ... ...
- [현장취재①] 홍콩의 과학, 핫플은 어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서양의 매력이 모두 공존하는 곳, 홍콩! 홍콩에는 젊은 과학자들을 발굴하기 위한 홍콩수상자포럼이 있습니다. 오는 11월 포럼이 열리는데, 그에 앞서 지난 6월에 각국 기자단을 대상으로 홍콩의 다양한 과학기술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됐어요. 어과동 백창은 기자의 4박5일 홍콩 취재기, 시작합니다 ... ...
- [DAY1 홍콩 이공대학교] 우주선의 눈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5호에 장착했습니다. 이 장비에 달린 카메라는 달 표면의 흙(표토)을 채취하기에 적합한 곳을 판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장비에는 로봇 팔도 달려 있어 직접 달의 표토를 가져오는 것까지 가능했어요. 2024년 발사 예정인 창어 6호에도 같은 장비가 실릴 예정이지요. 창어 6호는 인류 최초로 달의 ...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주저 ... 용어 설명근(원)시 : 안구가 길어(짧아) 초점이 망막 앞(뒤)에 맺히는 현상. 먼(가까운) 곳은 잘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다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가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케임브리지대학교에 직접 가서 그곳이 어떤 곳인지 알고 싶었거든요. 결국 꿈을 이뤘죠. Q. 과학자를 꿈꾸는 친구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이 있나요? 얼핏 보면 제 연구는 생물학 연구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연구할 때는 생물학과 수학, 화학이 모두 필요해요. ... ...
- [출동, 슈퍼M] 수박 더 맛있게 먹는 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그냥 먹어도 맛있지만, 시원한 곳에서 좋아하는 사람들과 나눠 먹으면 더욱 맛있답니다! 수박을 나눌 때는 분수를 활용하면 편해요. 수박의 개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연습을 해보고, 수박을 먹을 때 시원하게 만들어줄 수박 모양 부채도 만들어 봐요! 미션 1. 수박은 몇 개일까?각 그림 속 수박은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소노란사막거북 연구였습니다. 소노란사막거북은 미국에서 가장 큰 육상거북입니다. 이 곳을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아주 인기가 많아서 거북을 발견하면 한바탕 소동이 벌어질 정도죠. 사람들은 사진도 찍고, 거북을 따라다니기도 해요. 그러나 소노란사막거북은 멸종 위험이 아주 크고 알려진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벼락이 예보된 날은 최대한 외출을 삼가고 밖에 있을 땐 건물 안이나 지하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노력이 필요해요. 실내에 있다면, 전기 제품의 플러그를 제거하고 1m 이상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길 바라요.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통가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