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플라잉카 내년부터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생겼어요. 날개 윗면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태인데, 날개 위쪽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
의 속도가 달라 밑에서 위로 떠받치는 힘이 생기게 됩니다. 활주로에서 빠르게 달려가면서 위로 뜨는 힘을 모을 수 있지요. 이와 달리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플라잉카는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뜰 힘을 ... ...
[수학동화]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우주순찰대 본부를 향해! "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0호
순간, ‘
공기
’라는 단어가 딱지의 머릿속을 강타했습니다. “
공기
요?”“응. 왜?”“
공기
라면…. 헉! 큰일이에요! 얼른 본부로 가야 해요!”“뭐? 무슨 자다가 방귀 뀌는 소리야? 본부에 왜 가?”해롱 선장이 버럭 화를 냈습니다. “넓은마음이 분명해요!”딱지는 저번에 행성 공장에서 있었던 일을 ... ...
[특집] 플라잉카 개발 현장에 가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컴퓨터로 전체 디자인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플라잉카가 날아가면서 받는
공기
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한 구조를 만들어야 하지요. 설계가 끝난 뒤 모터와 프로펠러 등의 장치를 달고 자동차의 몸통을 씌워주면 플라잉카가 완성된답니다.민 연구원은 “위쪽에 ‘라이다 센서’라는 ... ...
[기획] 새끼 오리가 줄지어 헤엄치는 과학적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나 산소 사용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답니다.●
공기
저항 :
공기
속을 움직이는 물체가
공기
에게 받는 저항. 물리학상 맨 앞에 서는 새끼 오리가 가장 유리하다? (2021)영국 스트래스클라이드대학교 지밍 유안 교수를 포함한 공동 연구팀은 새끼 오리 대형의 효과를 수학적으로 보여줬어요.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사과의 껍질을 깎거나 사과에 상처를 내면 폴리페놀 산화효소가 분비됩니다. 이 효소는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해 폴리페놀을 산화시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물질이 계속 산화 반응을 일으키면서 반응의 결과물로 어두운 갈색의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사과를 깎기 전에는 왁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하얀 금속이에요. 다른 물질과 반응을 잘한다는 특징이 있어
공기
중에 리튬을 두면 습한
공기
에 빠르게 부식돼요. 금세 칙칙한 은빛 회색이 되었다가 이내 검게 변색되지요. 이런 탓에 순수한 리튬을 보관하려면 다른 물질과 잘 반응하지 않는 불활성 기체나 불활성 액체, 혹은 진공 속에 넣어야 ... ...
[기획] 손대지 않고 공중부양! 소리 핀셋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커지거나 작아집니다. 초음파 발생을 정교하게 조정하면 물체를 직접 건드리지 않고도
공기
의 압력으로 밀어내 공중에 띄운 뒤 다른 장소로 옮길 수 있는 거예요.연구팀은 “소리 핀셋은 오염이나 파손에 민감한 작은 부품이나 마이크로 로봇 등 직접 붙잡기 까다로운 물체를 옮기는 데 활용할 수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생일파티에는 발사해요! 풍선 2단 로켓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실험’이라고 해요. 작은 풍선의 내부 압력은 큰 풍선보다 높아요. 그래서 작은 풍선의
공기
가 큰 풍선으로 이동해 큰 풍선은 더욱 커지고, 작은 풍선은 작아집니다.1978년 미국의 물리학자 데이비드 메리트는 두 풍선 실험의 원리를 탄성력으로 설명했어요. 풍선을 불 때 우리는 있는 힘껏 숨을 ... ...
[기획] 휘감아서 진공으로 흡착! 문어발 그리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9호
한국기계연구원 송성혁 선임연구원은 “물체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구멍이 있으면
공기
가 새면서 물체를 붙잡지 못하던 기존 진공 그리퍼의 한계를 극복했다”며 “하나의 로봇 그리퍼로 붓글씨뿐 아니라 간단한 조리, 백신 접종, 망치질 등 다양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 ...
[기획] 지구 덮친 폭우 자연재해 아닌 인재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8호
가지 못한 찬
공기
는 아래로 내려와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 여름철의 뜨겁고 습한
공기
와 만났어요. 그 결과 급격하게 거대한 비구름이 형성됐죠. 이번 비구름이 유독 강력했던 이유는 따뜻해진 바다에 있습니다. 온도가 1℃ 오르면 수증기량은 7% 늘어나요. 지구온난화로 해수면 온도가 지속적으로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