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리스"(으)로 총 1,555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공룡·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은 1842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언이 ‘무서운(deinos) 도마뱀(sauros)’이라는 뜻의 그리스어로 만든 표현이에요. 그는 화석으로 남겨진 거대한 공룡의 뼈를 보고 이런 이름을 붙였죠. 공룡은 약 2억 3000만 년 전인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 초기 파충류로부터 최초로 진화했어요.공룡은 다른 ...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송진이 땅속에 묻혀 굳어진 누런 광물이에요. 투명한 데다 아름다운 노란 빛을 띠어 고대 그리스 이전부터 보석으로 사랑받았지요. 고생물학자에게 호박은 보석이 아니라 화석 보관 창고로 더 친숙해요. 가끔 나무 주변의 생물이 끈적한 송진에 파묻혀 굳으면 호박 속 화석으로 발견되기도 하거든요. ... ...
-
- [통합과학 교과서] 콩나무 타고 별 보러 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지요. 이렇게 밝기로 별의 등급을 처음 매긴 사람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인 히파르코스예요. 히파르코스는 하늘의 별을 관측하다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들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들을 6등급으로 구분했답니다.이후 19세기 영국의 과학자 노먼 포그슨이 빛 ... ...
-
- 피타고라스와 이효리의 공통점은? 피타고라스 식단!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선택해요. 이중 모든 동물성 식품을 일체 먹지 않는 사람을 ‘비건’이라고 해요.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는 대표적인 비건이었어요.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채식주의’라는 말이 없어 채식을 ‘피타고라스 식단’이라고 불렀답니다. 그러면 채식의 세계적인 동향과 어떤 ... ...
-
- [이달의 책] 양자 물질? 그깟 거 내가 설명해 주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호텔에 드나드는 사람들에 비유한다.이런 비유를 거듭하며, 물질의 정의에 대한 고대 그리스 시대의 질문부터 그에 대한 답을 내고 있는 현대의 양자역학까지 총정리했다. 물질의 물리학을 드디어 대중서로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 ... ...
-
- [특집] 종이접기로 수학 문제도 푼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있을 때 부피가 2배인 정육면체를 작도하는 문제는 ‘델로스의 문제’라고 부릅니다. 그리스의 델로스라는 섬에 전염병이 돌아 신탁을 받았더니 이 문제를 풀라고 했다는 전설이 있어서죠. 정육면체의 부피는 한 변의 길이를 세제곱해서 구하기 때문에, 부피가 2배인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를 ...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크레이터, 발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크레이터’라고 부른답니다. 1791년, 독일의 천문학자인 슈뢰터가 ‘그릇’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본떠 붙인 이름이지요. 크레이터는 운석 충돌이나 화산 폭발 등으로 생겨나요. 일반적으로 운석에 의해 생기는 크레이터는 ‘운석공’, 화산 활동으로 생기는 크레이터는 ‘분화구’라고 ... ...
-
- [특집] 수학의 근간인 공리가 종이접기에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연구해서 다양한 규칙을 찾았죠. 그중에 기본은 ‘공리’입니다.기원전 3세기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는 5개의 공리를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도형의 성질을 연구했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기하학의 근본을 이루고 있죠. 이처럼 공리는 증명할 필요 없이 ...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비율에 바탕을 두고 있다. 조율이라는 개념을 처음 생각해낸 것도 음악가가 아닌 고대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였던 점에 비춰 볼 때 수학과 음악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분명하다. ★피보나치 수열로 연주하기★ 수학은 잘 알지만 음악은 잘 모르는 사람이 연주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또 있다. ...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처음엔 쉽게 믿을 수 없었지만 그의 추측은 맞았습니다. 미국 수학자 로버트 그리스 주니어와 독일 수학자 베른트 피셔가 이를 증명했거든요. 피셔는 이 거대한 군에 ‘괴물’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 괴물군은 26개의 산재군 중 가장 크기가 큰 군으로, 이 군을 관찰할 수 있는 가장 작은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