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금성"(으)로 총 835건 검색되었습니다.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과학동아 l2008년 02호
- 더 취약할지 모른다”고 말했다. 실보티 박사는 “태양이 적색거성이 될 때 수성과 금성은 태양에 먹히는 반면 화성은 살아남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구는 경계구역에 위치해 그 운명이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6000년에 수km씩 옮긴다미래의 지구는 불타거나 얼어버리기 전에 바다가 먼저 증발해 ...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과학동아 l2008년 02호
- 천체 4개가 모두 모인다. 태양과 달 그리고 금성과 목성이 주인공이다. 2일에는 ‘넘버3’ 금성과 ‘넘버4’ 목성이 궁수자리를 배경으로 가장 가까이 접근한다. 두 행성 사이의 겉보기 거리는 45′로 보름달이 1개 반 정도 들어갈 거리다. 이날 ‘넘버2’ 그믐달은 바로 옆 전갈자리에서 두 천체를 ... ...
- 지구에서 떠나는 신나는 우주여행 옥토끼 우주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3호
- 꼼꼼하게 전시물을 구성했답니다.실내 체험관은 항공·로켓 발사관, 달 탐험존, 화성·금성 탐험존 등 9개 체험관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곳에서는 소유즈를 비롯해 여러 가지 로켓과 국제우주정거장,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월면차 등 우주 개발에 관련된 500여 점의 전시물을 볼 수 있어요. ...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9호
- 모든 행성이 하늘(천구)에 붙어서 지구 둘레를 돈다고 생각했지. 하지만 내가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움직임을 관찰해 보니 태양이나 달처럼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지만은 않더군. 뒤로 가기도 하더라 이 말이야. 거 참 이상하지 않나? 그래서 고민 끝에 그 다섯 개의 행성은 원래의 원 ...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8호
- 완성되면 무게 460톤, 길이 108m, 폭 74m, 태양열 전지판 120m로, 지구에서 달과 금성 다음으로 밝은 천체로 보인단다. 지구에선 작은 별로 보이겠지만 내가 커다랗게 보여 주지! 국제우주정거장의 각 부분은 어떤 역할을 할까?자리야 : 태양전지판과 통신안테나 등을 싣고있다. 우주정거장을 짓는데 쓸 ...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뿐 아직 완제품은 나와 있지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90년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공동 개발에 성공, 양산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 16메가D램은 93년부터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당 1백80달러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다1827년 영국의 식물학자 ... ...
- 단군세기의 행성직렬 기록은 조작됐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인류에 대재앙을 몰고 올 것으로 믿어져 상당한 공포감을 줬다. 2000년 5월 5일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우주공간에서 일직선으로 늘어서는 행성직렬 현상이 있었다. 일부에서는 이날이 노스트라다무스가 예언한 인류 최후의 날이 아닐까 우려하기도 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행성직렬이 ...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과학동아 l2007년 12호
- 값을 가질 수 없으며 이때 한계가 되는 각을 최대각이라 한다 수성의 최대이각은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을 의미한다행성의 이각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동구와 서구로 나뉜다행성이 ...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지구에서 화성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는 얼마나 자주 올까? 화성은 태양계의 행성 가운데 금성 다음으로 지구에서 가까이 있지만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기회는 가장 드물다.밤하늘에서 행성을 관측하려면 행성이 태양에서 최대한 많이 떨어져 지구에 가깝게 있어야 한다. 행성이 지구에서 ...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과학동아 l2007년 10호
- 책에는 갈릴레오의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에서 다룬 망원경 관측 성과를 비롯해 그 뒤 금성의 위상변화, 태양흑점, 토성의 귀(망원경의 성능이 그리 좋지 않아 고리로 보이지 않았음) 등을 관측한 내용, 망원경의 광학적 원리가 담겨 있었다.흥미롭게도 병자호란(1636~7) 때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간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