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달"(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IMO 대표를 수학자로 이끈 결정적 순간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되길 바랍니다. 최경수 : IMO 문제를 풀면서 수학은 본질만 알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는데, 10여 년 후 3번째 논문을 쓸 때도 수학은 본질만 알면 된다는 같은 경험을 했어요. 2003년 IMO 2번 문제는 ‘모든 자연수는 1 이상이다’라는 사실 하나로 푸는 문제였어요. IMO 대표가 되려고 페르마의 ... ...
- [과동키즈] 과학자, 작가, 예술가의 공통점은 ?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누구도 범접하지 못할 실력을 가진 친구들이었고, 그런 이들을 처음 본 저는 첫 몇 달 간은 주눅이 든 채 지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이 친구들이 수학과 과학을 좋아할 뿐 보통의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고, 2년 반이란 짧지 않은 시간 동안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친구들과 행복한 ... ...
- [인터뷰] “인류세의 표준 지층은 캐나다의 크로포드 호수”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극적으로 최종 후보지에 선정됐다. 또 다시 투표를 해야 했다면 최종 선정에 최소 두 달은 더 걸렸을 것이다.” Q. 크로포드 호수가 인류세 표준 지층으로 정해진 이유는? “호수 바닥의 퇴적물이 매년 나이테처럼 정확하게 쌓여있어 층서학 자료로써의 가치가 높았고, 핵폭발로 생성된 플루토늄 ... ...
- "덕후가 쓴 책을 번역할 때 가장 신이 나요"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에세이, 신문, 인포그래픽 등 신기할 정도로 형식이 모두 달랐습니다. 같은 사실을 전달하는 방법이 이렇게 많을까 싶을 정도로요.” 좋은 번역책이란 이토록 다양한 매력을 가진 과학책을 “읽는 사람이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든 책”이라는 그의 말에서 그의 작업 철학이 다시금 느껴졌다. 조 ... ...
- [이달의 과학사] 튼튼하고 가볍다! 비닐봉지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미국에서 ‘용접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손잡이가 있는 봉투’라는 이름의 특허가 1965년 4월 27일 승인됐습니다. 스웨덴의 공학자였던 스텐 구스타프 툴린(1914년~2006년)이 낸 특허로, 오늘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손잡이가 있는 비닐봉지의 시초랍니다. 석유를 가공해서 만드는 플라스 ... ...
- 꿀벌 실종도 로봇으로 막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수 있는 화학물질입니다. 로봇 꿀벌은 여왕벌이 꿀벌들에게 페로몬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해줘요. 그러면 꿀벌들이 일을 더 잘할 수 있게 되지요. 알빈 교수팀은 올해 안에 실제 여왕벌에게 로봇 꿀벌을 배치해 로봇 꿀벌이 제대로 역할을 하는지 실험할 계획입니다. 벌집도 스마트하게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 용골자리 성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2021년 발사됐어요.제임스 웹 망원경에는 정육각형 18개를 이어붙인 모양의 거울이 달려 있어요. 로켓에 거울을 접어 넣은 뒤 발사 이후 펼쳐지도록 했는데, 펼친 길이는 6.5m예요. 거울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은 빛을 모을 수 있어 어두운 천체까지 잘 보이지요. 용골자리 성운*제임스 웹 우주 ... ...
- 애플이 7년 만에 보여준 미래 'VISION' XR 삼국지가 펼쳐진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퀄컴과의 협업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고 했다. 2월 ‘XR 도원결의’를 맺은 삼성은 같은 달 ‘갤럭시 글래스’라는 이름의 상표권을 출원했다. 이어 5월엔 XR 헤드셋 생산에 필수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OLED 기업 ‘이매진’을 인수하는 등 바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갤럭시 글래스라는 ... ...
- "적어도 과학책은 문장 때문에 고민하지 않도록"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번역가를 인터뷰할 때는 그 책을 다 읽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프린키피아는 960쪽에 달하는 ‘벽돌’이었다. 멋쩍게 웃으며 박 박사에게 “책을 다 읽진 못했다”고 고백했다. 그는 “당연히 그럴 수 있다”며 너털웃음을 지었다. 오늘날 우리는 뉴턴의 운동법칙과 만유인력의 법칙을 깔끔하게 ... ...
- [수학연구] 수학을 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8호
- 학문을 발전하지 못하는 특이점에 대해 상상해봤습니다. 교수님은 이 특이점에 언젠가 도달하리라 생각하나요? 제 직관으로는 절대 그런 일은 생기지 않을 것 같아요. 지금까지의 추세로 봤을 때 수학이 깊어지지만 동시에 발전하는 속도도 점점 빨라지고 있어요. 많은 수학자가 매일 새로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