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항공우주국"(으)로 총 1,4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거대 연필이 떴다?!지난 4월 1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마치 연필처럼 생겨서 ‘연필 성운’이라고도 불리는 ‘NGC 2736’ 사진을 공개했어요. 이 성운은 지구에서부터 약 800광년 떨어진 곳에 있어요. 그 길이는 약 5만 광년이나 되죠. 사진 속 강렬한 빨간색은 이온화된 수소가, 파란색은 이온화된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빠르게 우주개발에 뛰어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출신 엔지니어를 영입하며 70년 이상의 노하우를 전수 받았다. 고 본부장은 “한국은 누리호를 통해 이제야 국내 기반기술의 초석을 마련하고 있다. 갈 길이 아직 많이 남았다”고 말했다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이재형 천문대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만약 두 행성이 충돌하면 대륙 하나가 초토화될 것으로 예측했고요. 그런데 지난 6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다행히 앞으로 100년 간 아포피스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없다고 발표했어요. 그렇다고 지구가 안전한 건 아니에요. 아포피스 외에 ‘베누’, ‘1950DA’ 등 다른 소행성의 위협이 아직 ...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공위성은 4538개였다.대부분 인공우주물체에 대한 정보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에서 제공받는다. 하지만 국내에서 운영하는 인공위성만큼은 우리가 직접 관리하고 감시한다. 우주위험감시센터는 이를 위해 전 세계 다섯 곳에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시스템(OWL ... ...
- [기획] 물곰 너는 누구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있는 디스크가 손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어요. 이외에도 2011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왕복선 인덴버호나 2007년 유럽우주국(ESA)의 Foton-M3 우주선에도 물곰이 탑승했답니다. #물곰_프로필물곰의 본명은 ‘완보동물’이에요. 이는 ‘느리게 걷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1777년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위성과 이산화탄소 측정기를 이용한 관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정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탄소 관측 인공위성(OCO-2) 데이터를 토대로 수도권의 탄소 배출량을 분석했다. OCO-2는 2014년 발사된 최초의 이산화탄소 관측 전용 인공위성이다. 지구에서 반사되는 햇빛이 이산화탄소에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분홍분홍해~! 지난 4월 1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찬드라X선 관측선으로 천왕성에서 X선을 감지했다고 발표했어요. 사진 속 분홍빛을 자랑하는 부분에서 X선이 감지됐지요.이에 대해 NASA는 천왕성이 태양 빛을 받아 산란하는 과정에서 생겼을 것, 우주를 떠돌던 전하를 띤 입자들이 천왕성의 고리와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이용한 지도 기술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 : 1972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관측 위성 (Landsat)이 발사된 이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이 활발해졌다.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물품을 화성에 서 만들 수 있어야 하지요. 그 중 가장 중요한 건 바로 먹거리예요.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우주에 거대한 구조물을 만든 뒤 그 안에 농장을 짓는 날을 꿈꾸지요. 척박한 화성에서 직접 작물을 길러 먹을 수 있도록 말이에요. 이들이 꿈꾸는 화성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만들기도 했지요. 텐세그리티는 지금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2015년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용한 시제품 탐사 로봇 ‘슈퍼 볼 봇’을 공개하기도 했답니다. 외계행성에 착륙하면 굴러다니며 표면을 탐사할 수 있는 로봇이지요. ● 실험 하나 더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