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d라이브러리
"
사슬
"(으)로 총 65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분자로 범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중합된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분자들은 서로 결합하면서 긴
사슬
을 만드는데 이
사슬
들이 코일처럼 서로 감긴 채 접착부위에 달라붙는다. 중합된 고분자형태의 메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하얀색으로 변한다. 순간접착제가 손에 묻었을 때 하얗게 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성질을 이용하면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들어 DNA 검출 센서를 개발했다.먼저 금 나노선에 병원체마다 독특하게 지니고 있는 DNA
사슬
을 한 가닥 붙인다. 이 나노선을 환자의 피에서 뽑은 DNA 용액에 넣었을 때 똑같은 병원체의 DNA가 들어있다면 금 나노선에 붙여 놓은 DNA에 달라붙는다. 여기에 병원체 DNA가 붙어 있는 금 나노선에만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DNA 염기 서열을 정한 뒤 합성에 들어갔다. 인슐린은 아미노산
사슬
두 개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백질이다. 따라서 DNA 조각도 2개를 만들어야 했다. 유독한 화학물질들이 가득한 실험실에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합성에 매달린 결과 6개월만에 인공 인슐린 유전자를 만드는 데 ... ...
비상 ! 우주 쓰레기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위성을 제작 단계에서 전자기
사슬
을 부착하는 방법이다. 인공 위성이 수명을 다하면 이
사슬
이 작동하고 지구에 끌어당겨진다. 대형 풍선법과 마찬가지로 수십 년이 걸리는 일을 수 개월만에 끝낼 수 있다. “이젠 잘 알았죠? 우주 쓰레기가 지상까지 도착한다고 해도 육지는 지구 면적의 30% 밖에 ... ...
빨간모자도 깜짝! 똑똑한 모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폴리머 소재! 이 소재는 평소엔 끈적끈적한 액체 상태지만, 충격을 받으면 분자들이
사슬
모양으로 단단하게 결합해 딱딱해지죠. 따라서 이 모자는 평소에 부드럽고 유연하지만 충격을 받으면 딱딱한 헬멧처럼 변해 머리를 보호해 줘요. 그리고 충격을 다 흡수한 뒤에는 다시 원래의 부드러운 모자로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자연 현상이었고 곤충의 진짜 모습을 감추는 가면이었다.애벌레는 육상 생태계의 먹이
사슬
전체를 움직이는 동물이면서 연구자가 거의 없는 분야이므로 전적으로 과학자에게만 맡길 수는 없다. 복잡한 생활과정을 알아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고, 아직도 거의 모든 종의 생활사가 제대로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구조가 나온다. 마우스로 배경을 드래그하면 단백질을 회전시켜 볼 수 있고, 각
사슬
과
사슬
에 붙어 있는 원자구조를 드래그하면 접힌 각도를 바꿀 수 있다. 두 원자구조가 너무 가까워지면 경고 표시가 나오고, 안정적인 구조가 될수록 점수가 높아진다. 점수가 정해진 수치보다 높아지면 성공이다.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쉽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논문의 저자들은 이 박테리아가 다른 분자를 이용해 약한
사슬
을 강화하거나 진화 과정에서 약한 고리에 적응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효소가 비소를 이용할 수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인 또는 비소가 있으면 살 수 있다는 사실은 인과 비소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 ...
PART1. 곤충을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꽃가루받이로 생산된다.혹시 ‘고기를 먹으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한다면, 먹이
사슬
을 떠올려 보자. 소의 주식인 ‘자주개자리’라는 식물도 꿀벌이 번식을 돕는다. 결국 꿀벌의 떼죽음은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는 신호탄이다. 그 피해는 인간이 식량을 얻지 못하는 큰 재앙으로 닥칠 수 있다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 인공섬은 물이 불어나거나 물의 속도가 빨라졌을 때 이 콘크리트 닻에 연결된 쇠
사슬
의 길이를 조절해 위치를 잡는다. 어디든 도시가 된다 ➋ 우주도시 - 달과 화성에 빌딩을 세워라!시몬 구에스트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접이식구조 공학과 교수땅이나 물 속에 도시를 짓기보다 제2의 지구를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