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d라이브러리
"
손가락
"(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습관 등이 신체에 장기적,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관절을 꺾는 행동의 결과만으로
손가락
이 두꺼워진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2. 상추를 많이 먹으면 잠이 온다는데 사실일까? A. 상추 속 락투신이 수면 유도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 블루 ... ...
[핫이슈] 영어, 책상 밖에서 배우고 싶다고? 스피킹 버스 타면 가능!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학습 시간이 끝나자 화면에 공원이 나왔어요. 공원 배경은 360° 이미지로 이뤄져
손가락
으로 화면을 밀면 전체 풍경을 생생하게 볼 수 있었지요. 이런 360° 이미지는 360° 카메라로 촬영한 결과물이에요. 360° 카메라 속에 있는 2개 이상의 렌즈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사진을 찍고, 이를 이어 붙이면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순간에 자연스럽게 회전이 걸립니다. 잭키 님은 돌멩이의 회전을 높이기 위해
손가락
과 유사한 거치대를 만들었습니다. 납작한 돌멩이가 딱 들어갈 만한 얇은 두께의 상자입니다. 직육면체 상자의 네 개 옆면 중 한 면만 막혀 있어서 옆에서 보면 마치 ‘ㄷ’ 모양으로 생겼습니다.거치대 한쪽 끝을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편평한 표주박 모양의 공명통에 6개의 줄을 댄 형태다. 왼
손가락
을 프렛 위에 놓고 오른
손가락
으로 줄을 튕겨 연주한다. 이때 줄이 6개밖에 되지 않는데도 여러 음을 낼 수 있는 이유는 왼손으로 어디를 잡느냐에 따라 튕기는 줄의 길이가 달라지고, 이 길이에 따라 음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기타의 ... ...
[변화1] 가상 공간에서 오감을 느낀다! 확장 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캔 표면처럼 차가워졌어요. 이번에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자, 전기장판에 손을 댄 듯
손가락
에서 따뜻한 열이 느껴졌답니다. 이진우 연구원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거라고 설명했어요.“전자(음전하)가 많은 반도체 물질과 정공(양전하)이 많은 반도체 물질을 나란하게 놓고, 두 반도체 물질의 ... ...
[2교시 실험편] 즐거운 실험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ASMR 영상을 만들고 있어요. 이 영상의 또 다른 재미는 바로 매우 작은 실험 도구예요.
손가락
보다 작은 컵과 물병으로 실험하는 영상을 본 사람들은 조마조마하면서도 신기하다고 말하지요. 지난해, 저는 SNS에서 누군가 작은 비커를 들고 찍은 사진을 봤어요. 작은 실험 도구들에 첫눈에 반해 바로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뚫은 빨대는 속으로 감자가 들어가 막혀 버려요. 감자가 빨대를 막으니 이후로는 엄지
손가락
으로 반대쪽을 막지 않아도 감자를 쉽게 뚫을 수 있지요. 다른 과일이나 채소도 빨대로 뚫을 수 있을까요? 직접 실험해 ... ...
[기획] 수의 성질이 곧 트릭! 숫자 마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가다 막히면 왼쪽으로 가라고 안내하는 게 포인트예요. 그러면 2는 4로, 4는 4로 갈 테니
손가락
이 늘 4에 놓이는 거죠!신기한 마술의 원리가 누구나 알고 있는 홀수와 짝수의 성질이었다는 게 놀랍죠? 한 가지 성질로도 다양한 마술을 할 수 있으니 수업이 끝나고 나만의 숫자 마술을 만들어보세요 ... ...
[기획] 역원을 알아야 풀린다! 끈 마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건 B와 B-1을 함께 지운다는 뜻이에요. 즉 ABA-1B-1은 AA-1=1이 돼 끈이 풀리는 거죠. 따라서
손가락
하나를 뺐을 때 끈이 풀리도록 하려면 한 알파벳을 지웠을 때 곱한 결과가 1이 되도록 미리 식을 만든 뒤 그대로 꼬면 되죠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것일까. 면역시스템의 관점에서 우리 몸은 이에 대해 명확한 답을 갖고 있다.마치
손가락
의 지문처럼 자신의 몸에서 만들어낸 물질에는 분명한 표식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면역이란 곧 내 것이 아닌 표식을 가진 물질을 인식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과정이다.생물이 면역시스템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