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hand
손
d라이브러리
"
손바닥
"(으)로 총 448건 검색되었습니다.
[에필로그] 변신+합체. 천사의 날개를 진화시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실루엣으로 보였을 뿐이다. K는 벌떡 일어났다. 빛이 너무 강해 눈이 부셨다. 손을 들어
손바닥
으로 눈을 가렸다. 손가락이 다섯 개인 원래의 손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변신 대 합체, 신화 속 괴물의 과학적 재발견[변신] 두 발로 걸은 염소 이야기[합체] 그리스 신화 속 염소는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있다. 브뤼셀 와플은 와플 기계의 틀과 같은 네모난 모양이다. 반면 리에주 와플은
손바닥
처럼 타원 모양이다. 이것은 와플을 처음 만들 때 반죽부터 다르기 때문이다.브뤼셀 와플 반죽은 액체에 가깝다. 네모난 금속 틀에 부으면 틀에 꽉 차면서 틀 모양의 와플이 된다. 반면 리에주 와플은 반죽이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영장류는 8000만 년 전부터 주로 나무 위에서 살며 과일과 잎을 주식으로 했습니다.
손바닥
보다도 작은 크기의 초기 영장류는 과일과 이파리만으로도 충분했습니다. 몸집이 비교적 작은 원숭이는 곤충이나 애벌레 정도 되는 동물성 단백질을 먹기도 합니다.하지만 오랑우탄이나 고릴라처럼 몸집이 ...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하지만 태양을 찾을 때는 뷰파인더로 대상을 잡을 때 눈으로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손바닥
을 이용한다. 뷰파인더로 대상을 찾으면 태양필터를 장착한 주망원경으로 관측을 시작한다. 모든 이론수업과 예비관측을 마치고 본격적인 태양관측에 들어갔다. 먼저 굴절 망원경을 이용해 금성일식 ... ...
가로수 오디션의 주인공, TOP10을 공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벗겨지는 양버즘나무입니다. ‘플라타너스’로 더 유명하지요.가지가 넓게 퍼지고 잎이
손바닥
보다 커 풍성한 그늘을 만들어요.여러분에게 소중한 추억도 만들어 드리지요. ‘입하’ 무렵에 꽃이 핀다고 제 이름은 이팝나무가 됐습니다. 벚나무처럼 하얀 꽃을 내지만 꽃이 얇고 긴 모양이고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공을 튕긴 다음, 상대 선수의 코트로 넣는다. 서비스를 할 때는 탁구라켓을 들지 않은 쪽
손바닥
위에 공을 올려놓고, 45° 범위 내에서 16cm 이상 공을 던졌다가 내려올 때 탁구 라켓으로 치면 된다.수학으로 승리를 예측한다앞에서 말했다시피 ‘리분희 탁구’의 비밀은 ‘수학’에 있어.수학은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된 글자를 촉각만으로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보통 사람이라면 글자의 크기가
손바닥
만큼 커야 글자의 모양을 구별할 수 있다.그 뿐만이 아니다. 볼록한 글자를 쓰자니 글자 모양 그대로 볼록하게 쓰는 도구도 없어 무척 불편하다. 결국 시각장애인을 위한 글자는 그림❶과 같이 선으로 된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➊ 물을 렌즈로 만든다고?공부하다가 책 위에서 잠이 들었다. 일어나보니 입에서 침이 질질 새고 있다. 책에 흘린 침방울을 들여다보자. 혹시 침 ... 그래서 입자 대신 유동성이 큰 액체로 전자종이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있다. (…중략…)③
손바닥
위의 실험실 랩온어칩(Lab on a Chip)(…중략… ... ...
'톡톡ʼ스마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한 연구팀은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술을 개발했어. 손가락으로
손바닥
을 터치 하거나 밀어내는 동작을 카메라로 확인해서 무선으로 알려주는 원리를 썼대. 지난해 국내의 한 업체도 이와 비슷한 모션 인식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폰을 출시했어. 터치하지 않고 손동작만으로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강병화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가 바짝 마른 덩굴에 매달려 있는 열매 송이를 따서
손바닥
에 올려놓았다. 겉이 우둘투둘한 수박씨만한 열매 20여 개가 다닥다닥 붙어있고 그 사이에 미세한 가시가 잔뜩 박혀있다.“이런 모습 때문에 가시박이라는 이름이 붙었지요. 찔리면 꽤 아픕니다. 살에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