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보다 더 진짜 같다 '숨은 로봇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정원에 어떤 로봇이 숨어있는지 찾아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자연보다 더 진짜 같다 '숨은 로봇 찾기' Part1.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 Part2. 잎부터 뿌리까지 '식물도 로봇' Part3. 꿀벌 실종도 로봇으로 막는다 ... ...
- 잎부터 뿌리까지 '식물도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시간 진화를 거듭해 왔어요. 시행착오를 겪으며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 낸 거죠. 이렇게 자연을 관찰하다 보면 시행착오를 줄이고 비교적 쉽게 답을 찾을 수 있답니다. Q. 신소재를 활용해 로봇을 만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아무리 새로운 소재를 개발해도, 실생활에서 쓰이지 않는다면 그 소재를 ... ...
- [4컷 만화] 아미노산으로 생분해성 유리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고체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어요. 아미노산과 펩타이드는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되어 생태계에서 다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학원 얀 셰하이 연구원은 “아세틸아미노산으로 만든 유리는 퇴비 공장에서 3주 이내에 분해됐다”며 “생분해성 유리를 더 큰 규모로 ... ...
-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김대윤 박사팀은 “메탄올뿐 아니라 다른 유해 물질도 검출할 수 있다”며 “자연의 원리를 적용해 우리에게 직면한 환경 오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방법을 찾겠다”고 강조했어요. 점프력 최강! 방아벌레 로봇지난해 12월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와 프린스턴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방아벌레 로봇을 ...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특징을 추가한다. 중력파가 시공간을 늘리거나 줄이는 2가지 방식이 있는데 자연이 둘 중 특별히 더 편애하는 게 없기 때문이다. 나노헤르츠 대역의 파장은 대략 10년을 주기로 한번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수의 중력파가 발생하기 위해선 태양 질량의 1억 배가 되는 밀집쌍성이 필요하다. 이것의 가장 ... ...
- 허준이 교수의 영재 상담소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주현수 /충북과고 2학년Q. 교수님도 수학을 공부하면서 지칠 때가 있을 텐데 어떻게 극복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내가 수학자로서의 역량이 있을 ... 뒷부분은 적당히 무시하세요. 그때그때 재밌는 일을 조금씩 하다보면, 약간의 운을 더해 자연스럽게 진로를 찾아가게 되지 않을까요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에서 고기 맛이? 반전 매력의 곰보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마세요! ❋필자소개박상영(생태사진작가). 전국을 돌아다니며 버섯을 비롯한 아름다운 자연을 사진 속에 담아내는 청년 생태사진작가. 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수목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 입학을 앞두고 있다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핵자(양성자와 중성자) 수로 나눈 값인 ‘핵자당 결합에너지’ 때문인데요.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소들 중 핵자당 결합에너지가 가장 큰 원소는 철(Fe)입니다. 가장 안정적인 핵종이죠. 때문에 다른 원소들도 철에 가까운 핵자당 결합에너지를 갖고자 합니다. 철보다 핵자의 수가 많은 원소는 분열을 ... ...
- [Reth?nking] 함수는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08호
- 1, 1 + 1 + 2, 1 + 3, 4를 비롯해 2 + 2가 하나 더 있습니다. 문제 자체는 이해하기 쉽지만, 어떤 자연수 n을 집어넣었을 때 정확한 결괏값을 내놓는 함수를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인도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1887~1920)이 최대한 근삿값을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했지만, 너무 복잡해요. 과학 혹은 ... ...
-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수도 있다는 말도 안 되는 결론을 함의했거든요. 이에 당황한 러셀과 화이트헤드는 자연수가 무한히 많다는 명제를 아예 공리에 포함하는 무리수를 두었습니다. 이 선택은 치명적이었는데요. 가장 단순한 원리만 가지고서 수학의 토대를 구축하겠다는 의 목적과 완벽히 상충했기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