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Zone
구역
시골
지방
지대
죤
어린이과학동아
"
존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긴 이름과 웃긴 이름들
포스팅
l
20211127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계에서 가장 긴 이름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사람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먼저 세계에서 가장 긴 이름을 가진 사람은 누구일까요? 무려 이름이 "746"자로 이루어져있는데요. 바 ... 는 사실 짧게 줄인 이름입니다. 그의 본명은 "아돌프 블레인 찰스 데이비드 얼 프레더릭 제럴드 허버트 어빈
존
케네스 로이드 ...
잘못 알려진 공룡들의 사실
기사
l
20211120
스티기몰로크가 있는데 적은 후두류 공룡들 안에서 큰 공룡 혁명이 일어납니다. 바로 스티기몰로크와 드라코렉스의 소실!
존
호너라는 과학자는 스티기몰로크와 드라코렉스를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아성체라고 말했습니다.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마 머리뼈가 비슷해서 그렇게 주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5.메갈로돈의 사정 메갈로돈은 신생대 마이오세때에 ...
우리에게 친근한 새가 공룡일 수도 있다고?!
기사
l
20211120
바로 이 공룡이 시조새와 100개 이상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당시에는 시조새가 새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존
오스트롬 교수는 공룡에서 새로 진화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결론은 결국 공룡학계를 거의 발칵 뒤집어 놓았는데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공룡이 새의 조상이라면 파충류로 분류하는 것이 맞을지, 변온동물이 맞을지 ...
오리너구리는 어떻게 지금까지 생
존
했을까?
기사
l
20211116
단공류를 위헙하기 시작했습니다. 유대류는 단공류보다 빠르고 새끼를 주머니에서 키우기 때문에 단공류보다 호주 대륙에서 더 잘 생
존
할 수 있었습니다. 단공류는 수중 환경에 적응하면서 다시 개체 수를 늘려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유대류는 물에 들어가면 새끼가 물에 빠지기 때문에 물 속 생활은 엄두도 못내지만, 알로 번식하는 오리너구리에게는 어렵지 않은 ...
[쥬라기 월드-7] 날렵한 모습은 바로 그곳에! 데이노니쿠스
기사
l
20211116
그 설이 데이노니쿠스 때문에 생겨났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첫 번째로 공룡이 새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을 주장한 사람은 바로
존
H. 오스트롬입니다. 당시 오스트롬은 로버트 T. 바커와 함께 연구를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오스트롬은 매우 신기한 화석을 발견하게 됩니다. 바로 집단으로 사냥하다 죽은 듯한 소형 공룡의 화석이였 ...
오드아이 호-4화:
존
선장과 7명의 선원들
포스팅
l
20211116
새는 바다에 어떻게 와서 히드에게 온것인지........ 저는 그 생각들 때문에 머리가 혼란스러웠어요.... 히드 네 정체가 뭐야...? (한편
존
선장에 해적선)
존
:로이 녀석 잘 따라오고 있겠지? 그나저나..... 왜 오드아이 소년이 여기에 있는거지? 벌써 오래전이라서 이름이 기억이 안 나는군.... 이 오드아이 소년도 그 ...
ꔛ˖* ੈ 책벌레가 책추천 해드립니다.ᐟꕁੈ
기사
l
20211113
읽어보세요 ( 줄거리 설명이 너무 부족했나..? ) 여튼 너무너무 재미있어요♡̷̷̷♡̷̷̷♡̷̷̷ ⁴네 번째로 추천해드리는 책은
존
그린 작가님의 잘못은 우리별에 있어 인데요!! 이 책은 영화 안녕 헤이즐의 원작 소설이에요⋈♡̷̷̷ 혹시 안녕헤이즐 보신 분..? 손 여튼 이 책도 줄거리를 말하고 싶지만 스포가 될 것 같기 때문에 읽 ...
외국이름에
존
이 많으면 생기는 일
포스팅
l
20211109
출처 트위터 출처 제목학원 잠깐 너는
존
이 아니잖아. 다시 앉도록 ...
희귀동물의 모든 것, 곤충 하모니
기사
l
20211107
레퍼드 게코(탠저린)을 샀다. 레퍼드 게코는 사막에 살던 도마뱀이다. 그래서 핫
존
과 쿨
존
을 구분해 주어야 하고 핫
존
은 30~32, 쿨
존
은 26~30까지 맞춘다. 그리고 따로 물은 주지 않고 분무기로 벽에 물을 뿌려 그 물을 핥아 먹는다. 베이비 때는 눈앞에서 먹이를 칼슘제에 묻혀 흔들어준다. (끝이 뾰족한 ...
공룡의 유래
기사
l
20211107
하지만 1970년대에 들어서자 이런 '공룡' 의 이미지가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이중 공룡 연구의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준
존
H. 오스트롬은 매우 신기한 공룡의 화석을 발견하게 됩니다. 바로 소형 육식동물이 대형 초식동물을 사냥하다가 집단으로 죽은 듯한 화석입니다. 더 놀라운 점은 이 소형 육식동물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며 사냥했다는 점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