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질병"(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가 몰랐던 가장 위험한 생물기사 l20201208
- 죽이는 생물이 뭘까요? 바로 1위가 모기 2위가 사람 3위가 뱀이라고 합니다. 모기는 일본뇌염,말라리아,뎅기열,지카 바이러스 등의 질병을 옮깁니다. 모기 사진 출처: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m=tab_jum&query=%EB%AA%A8%EA%B8%B0#imgId=blog61 ...
- 메르스 ㄷㄷ포스팅 l20201207
- __ 치사율이 40%에 육박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환자 및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 2~14일간의 잠복기를 가지고 있으며 과거사람에게서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 입니다. 환자 중 98%에서 발열, 83%에서 기침, 72%에서 숨가쁨, 32%에서 근육통이 있었다고 하네요. 환자 중 26%가 설사, ...
- 우리가 알고 넘어가야 할 다섯가지 위험한 바이러스기사 l20201207
- 원숭이를 통하여 감염됩니다. 하지만 치사율이 높을 뿐 발병사례는 극히 적다고 합니다. 5. 메르스 __ 치사율이 40%에 육박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환자 및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 2~14일간의 잠복기를 가지고 있으며 과거사람에게서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 입니다. 환자 중 98%에서 발열 ...
- 끔찍한 바이러스 3가지에 관하여!기사 l20201206
- 변하며 죽는 이 바이러스는 현재 조류독감의 일종이였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저는 스페인 독감이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질병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3가지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방법 중에는 위생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지금 일어나는 코로나19도 위생을 잘 지키면 충분히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 한하임 기자였습니다 ...
- 역대 최악의 전염병 best 7기사 l20201203
- 전염병이라고 알려졌다. 천연두에 치사율은 무려 30%의 다다랐으면 영유아일 경우 치사율은 더 높다. 지금까지 역대 최악의 질병 best7까지 알아보았는데요,얼른 코로나19가 끝나서 답답한 마스크를 벗으면 좋겠습니다. 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박찬진 기자였습니다. ... ...
- 흑사병, 코로나와 어떤 점이 다를까?기사 l20201202
- 인구의 3분의 1이 사라졌으며 흑사병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길이 되기도 하였다. 흑사병은 페스트균, 즉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인데, 원래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에 발을 들여놓게 되고 그후 유럽에서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다. 실크로드를 통해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다가 1343년에 크림 반도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곳에서 무역선에 살고 있던 검 ...
- 비행기를 타면 왜 귀가 먹먹해질까?기사 l20201114
- 답답하고 짜증나죠. 게다가 이 먹먹함과 통증이 있는 게 질병의 원인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건 '항공성 중이염'이라고 하는데요. 질병의 증상은 지금까지 말했던 먹먹함과 통증이라고 합니다. 이런 증상은 흔하지만 만약 비행기에서 내려도 먹먹함과 통증이 계속되거나 귀 안에서 물이나 분비물 같은 것들이 나오면 이비인후과에 가보시는 게 ...
- 11월의 기억한DAY : 농업인의 날기사 l20201111
- 예상돼 생산에서 소비까지의 농산업 모든 과정을 환골탈태 시킬 것으로 예상되요 . 빅데이터를 통해 농업생산성을 제고하고 각종 질병과 자연재해 예방은 물론 소비자의 행동과 생각까지도 분석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는 것입니다 . 이를 통해 농업관련 산업의 재창조와 새로운 농업비즈니스 창출 , 가치전달 모델의 재구성 , 농산물 물류와 유통의 획기적 ...
- 우리나라의 절기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01109
- 밤의 길이가 가장 짧은 날’ 입니다. 이 날 이후로 하지가 될 때까지 밤의 길이는 계속 짧아집니다. 동지에 날씨가 따뜻하면 다음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죽고,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든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진짜 동지의 뜻이 지금의 상황과 맞아 떨어지네요. 작년 동지에 춥지 않았는데..... 마지막으로 소한과 대한입니다. 소 ...
- 동물들이 자신의 몸을 치료하는 방법기사 l20201109
- 잡기 위해서 입니다. 동물의 피부 조직과 피는 영양이 풍부해 해충이 자라기 좋은 장소중 하나입니다. 벌레가 살면 동물은 자연스럽게 질병에 걸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어떤 동물들은 서로 벌레를 잡아 주기도 합니다. 고릴라, 침팬치 같은 동물은 몇시간식 벌레를 떼어내는데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영양과 소딱따구리 ( 출처 휘슬러 사이언싱 톡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