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검사
체격검사
뉴스
"
건강진단
"(으)로 총 1,34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간편 진단키트 개발…"예후·중증도까지 알려줘"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과민성대장증후군을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키트. 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과민성대장증후군을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됐다. 세포가 분비하는 작은 ‘주머니’인 엑소좀을 활용해 질병의 예후와 중증도까지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간편하면서도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임 ... ...
간암 유발 'C형간염' 내년 국가건강검진…"증상 없다고 얕보면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2019년 기준 C형감염 양성 환자는 8810명으로 이 중 치료 받은 환자는 5118명에 불과하다. 대한간학회 제공. 간경변과 간암 주요 원인인 ‘C형간염’이 내년부터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된다. 전문가들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하고 치료하면 완치율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단 완치 후에도 ... ...
AI챗봇, 병원에 도입?…"환자 생명 위협하는 진단 내릴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인공지능(AI) 기반 의료서비스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AI) 기반 챗봇이 환자 진단에 도입되기엔 시기상조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적절하지 않은 진단을 내려 환자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다만 기술 자체의 잠재력에는 주목해 ... ...
77% 확률로 치매 예측…알츠하이머치매 바이오마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알츠하이머치매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MARHARYTA MARKO/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기술이 개발됐다. 노화 연구 및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한국뇌연구원은 이동하 인지과학연구그룹 선임연구원과 홍창 ... ...
혈액 한 방울로 림프종·폐섬유화 등 67개 질병 위험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피 검사를 통해 수십 가지의 질병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PCH-Vector/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혈액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수십 가지의 질병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한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피 한 방울로 조기 진단하는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신호탄이다. 영국 런던퀸메리대, ... ...
재사용발사체·초고령사회 의료전망…18일 과학언론 묻고 전문가 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과학기자협회 제공 국민이 궁금해하는 과학적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과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과학기자협회는 18일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2024 과학기자대회’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과학기자대회는 과학계 및 의학계, 언론인, 일반 ... ...
의사 '자살률' 높아…"비판 외 '연민'의 시선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의료인은 다른 직군보다 자살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V_LJ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의사들이 겪고 있는 번아웃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해외 전문가의 의견이 제시됐다.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의료계 현안과 관련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되 의사들의 지친 심신 상태도 함께 고려해볼 필요가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20주 된 인간 여성 태아는 난소에 600~700만 개의 난모세포를 가지고 있다. 난모세포는 난자의 이전 단계 세포다. 약 30만 개는 사춘기까지 생존하고 약 1000개는 50세 전후 폐경기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평생에 걸쳐 정자를 새로 만드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일생동안 만 ... ...
[과기원NOW] UNIST, 태풍 강도 예측 정확도 50% 향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왼쪽부터) 임정호 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 추민기 석박통합과정생, 이주현 연구원, 김예진 석박통합과정생.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임정호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태풍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정지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피마 인디언의 사례 미국 애리조나주 그랜드캐년에서 사진을 찍으면 가장 잘 나오는 위치인 피마포인트는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인디언 부족 피마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피닉스대 연구팀은 1979년에 피마 인디언의 당뇨병 유병률이 다른 어떤 인구 집단보다 높다는 논문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