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방
배후
뒷면
이면
뒤
뒷전
뒷쪽
뉴스
"
뒤쪽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진으로 돌아보는 허블 우주망원경 25년의 기록
2015.04.23
오리온 자리의 말머리 성운. 지구로부터 1500광년 거리에 있다. 1888년 처음 발견됐으며,
뒤쪽
의 발광성운을 가리고 있다. - NASA/ESA 제공 나비 성운으로도 불리는 NGC6302. 전갈 자리에 있으며 지구에서 3800광년 떨어져 있다. - NASA/ESA 제공 지구에서 2900만 광년 떨어진 솜브레로 은하. 은하 주위의 짙은 ... ...
움직이는 ‘로봇 재료’가 온다
2015.04.03
발생하는 압전소자를 이용해 인공와우를 개발했다. 이 인공와우는 길이 4cm 정도로 귀
뒤쪽
에 있는 뼈 속 빈 공간에 넣을 수 있다. 소리가 들리면 전기신호를 생산하고 이를 청각세포에 전달해 청각을 상실한 사람도 소리를 인식하게 만든다. 소리에 반응해 장식이 움직이는 드레스. - 니콜라우스 ... ...
관절보호, 안장 높이에 달렸다
동아일보
l
2015.03.30
사람마다 자전거를 타는 모습은 조금씩 다르다. 팔꿈치를 편 상태로 상체 무게중심을
뒤쪽
에 두거나, 반대로 상체를 앞으로 숙이며 타기도 한다. 무릎, 손목, 발목 등을 보호하려면 올바른 자세로 주행을 해야 한다. 우선 핸들을 잡을 때는 손목은 펴고, 팔꿈치는 굽힌다. 바닥에서부터 전달되는 ... ...
물속에선 문어가 제일 잘나가
과학동아
l
2015.02.20
늘어날 수 있는 소재로 로봇 몸통을 만들었다. 로봇은 물을 채워 몸을 부풀린 뒤
뒤쪽
방향으로 물을 발사하고, 이어 몸통이 빠르게 수축해서 가속도를 얻는다.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1초다. 어뢰와 같은 딱딱한 물체는 물과 부딪히며 에너지를 잃지만, 문어 로봇은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2015.01.21
사회적인 동물이다. - 과학동아 제공 이렇게 해서 밀고 나온 갓난아기의 얼굴은 엄마의
뒤쪽
을 향해 있습니다. 갓 태어난 새끼의 얼굴이 엄마의 얼굴을 향하는 원숭이와 반대되는 상황이죠. 아기를 낳는 여자는 원숭이의 엄마처럼 팔을 뻗쳐 스스로 신생아를 빼낼 수 없습니다. 섣불리 아기를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데 성공했다. 안경에 내장된 아주 작은 미니 비디오 카메라와 연결된 컴퓨터 칩을 눈의
뒤쪽
에 있는 망막 시신경에 이식한 것이다. 망망 시신경에 연결한 칩에는 16개의 작은 전극이 들어 있어서 전극이 자극을 받으면 하나라도 살아 남아있는 시신경을 자극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은 16개의 점을 ... ...
“땅콩 리턴? 사실은 내가 했다.”
2014.12.28
기체가 역류해서 앞 방향으로 분사되겠죠. 이 때 작용-반작용의 원리에 따라 비행기에
뒤쪽
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고, 그러면 그 저항력 때문에 앞으로 나아가는 속도가 줄어들겠죠. 위키피디아 제공 5. 그러니까 후진을 할 수 있다는 건가? 비행기가 정지해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이 때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것. 맨 앞의 렌즈부터 마지막 렌즈까지의 거리는 90cm다. 맨 뒤에 있는 볼록렌즈가
뒤쪽
배경이 되는 모눈종이의 시각정보를 앞으로 전달한다. 최 연구원은 “맨 뒤의 볼록렌즈와 바로 앞 볼록렌즈 사이의 중심부에 모눈종이의 상이 맺히도록 렌즈 4개의 배율과 간격을 조정하는 게 핵심”이라며 ... ...
그는 어떻게 50년 공룡 미스터리를 풀었나
2014.10.23
이 관장의 몫이었다. 이 화석으로 연구를 하다가 우연히 고관절을 이루는 대퇴골구의
뒤쪽
이 특이한 형태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부분은 일반적으로 구 형태지만 갈고리 모양이었던 것이다. 이 관장은 문득 2006년 고비 사막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한 화석을 떠올렸다. 그 화석에 남은 공룡의 ... ...
포기하지 않는 사람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마우리시오 델가도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시련이 닥쳤을 때 뇌
뒤쪽
에 있는 ‘배측선조체’와 뇌 앞쪽에 있는 ‘복내측시상하핵 전전두엽 피질’이 함께 반응해 포기하지 않게 만든다고 신경과학분야 학술지 ‘뉴런’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럿거스대 학생 30명에게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