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산품
산출물
상품
판매품
생산물
소산
수확물
뉴스
"
산물
"(으)로 총 59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장부터 뇌까지, 미생물이 결정하는 건강
동아사이언스
l
2022.05.29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위장의 미생물 군집 역시 다양한 대사
산물
과 신호전달분자를 만들어 인간 위장의 건강상태뿐 아니라 전신에서 발생하는 질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단 이에 대한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특집에 포함된 한 ... ...
[르포] 곡물가격 급등 속 미중 경쟁의 또다른 전선된 ‘바이오에탄올’ 생산 현장을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8
100%로 잡아내는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생산원료인 옥수수와 에탄올, 부
산물
인 DDGS(동물사료)와 옥수수 오일. 시카고=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 ... ...
스페이스X 재사용 로켓, 환경에 얼마나 영향 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20
황과 온실가스를 45%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스코틀랜드 기업 오벡스는 바이오디젤 부
산물
인 바이오프로판을 연료로 쓰는 로켓 ‘프라임’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영국 액서터대와 공동연구 결과 비슷한 크기의 화석연료 로켓보다 탄소배출량을 86% 줄일 것이란 분석 결과를 내놨다. 미국 스타트업 ... ...
메타는 왜 '친환경 콘크리트' 배합 AI를 개발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톱밥과 점토 같은 폐기물이나 제철소 용광로에서 발생하는 ‘고로슬래그’ 같은 부
산물
도 탄소 배출을 줄일 주요 후보로 올랐다. 메타 측은 “건물에 들어갈 콘크리트 재료 조합을 찾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반복 작업이 필요하다”며 “AI를 활용해 이런 반복 작업들을 빠르게 ... ...
[프리미엄 리포트] 우리는 위기 앞에 경험과 기술을 나눴다
2022.05.07
생산 효율성을 높여 쌀과 옥수수의 가공 과정에서 손실률을 15%에서 6~9%로 낮췄다. 부
산물
도 사료로 판매해 추가적인 수입을 13배나 올렸다. KOICA는 이런 사업방식을 여러 국가로 확산시키고 있다. 식량 못지 않게 기술과 경험도 나눠야 지역별 곡물 생산량과 영양결핍 수준을 보면 우리가 처한 ... ...
[우주산업 리포트] 중국이 우주정거장을 만드는 ‘숨은 이유’
2022.04.22
‘우주정거장 자유’를 제안했다는 것만 봐도 이 프로젝트가 미국-소련간 이념대결의
산물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소련이 1991년 붕괴하면서 상황에 큰 변화가 생겼다. 소련의 후계자로 러시아가 등장했지만 미국과의 경쟁은 이미 승부가 난 후였고, 따라서 미국은 사실상 적수가 없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은 왜 향기 분자를 만들까
2022.04.19
알 수가 없다. 왜 혈관 대식세포 표면에 냄새수용체 OLFR2가 있고 지방산 산화스트레스의
산물
인 옥타날이 달라붙었을 때 염증반응을 일으켜 플라크를 만들어 화를 자초하는지 아직은 알지 못한다. 다만 대식세포의 OLFR2에 작용해 옥타날이 접근하지 못하게 작용하는 약물을 만든다면 동맥경화를 ... ...
실감나는 거대 말벌 벽화
팝뉴스
l
2022.04.13
입체 말벌이 나타나게 되어 있다면서 그 때문에 더 정교하고 고급스러운 벽화 기술의
산물
이라는 설명하는 댓글도 눈길을 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한국인 장내 유익균, 외국인보다 성장 잘 하도록 진화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4.11
살 수 있다. 한국인에게서 나온 아커만시아 균주는 뮤신 분해력이 높은 만큼 부
산물
을 주변 유익균에게 제공하면서 자신이 영양을 확보해 다른 경쟁 미생물의 생장을 막을 가능성이 커진다. 장내 정착과 다른 장내미생물들과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진화됐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이를 바탕으로 다른 품종과 교배를 통해 얻은 반왜성 밀은 키가 작다 보니 광합성
산물
이 식물체 성장보다 낟알로 더 많이 가고 웬만한 바람에도 쓰러지지 않았다. 여기에 화학비료가 더해지면서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급증했고 덕분에 지구촌의 수억 명이 기아에서 벗어났다. 지난 1999년 학술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