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착상
의견
발안
착안
창조력
창의력
뉴스
"
아이디어
"(으)로 총 1,983건 검색되었습니다.
ʻ지구의 탄소 순환ʼ에서 얻은
아이디어
, CCU 기술 상용화 실마리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센터장과 이웅희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탄산염과 규산염의 지질화학 순환에서
아이디어
를 얻어 ‘가역적 실리카-수산화물 순환'을 통해 국소 산도(pH) 제어가 가능한 은-실리카 혼합 촉매’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구의 무기 탄소 순환이라 불리는 탄산염-규산염 순환으로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 ⑧청소년이 본 우주인 건강문제 해결책…보령 ‘HIS Youth’ 본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23
우주에서 생활할 때 적용 가능한 다양한
아이디어
가 제시되었다. 참가자들은 단순한
아이디어
제시에 그치지 않고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통해 그 가능성을 입증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참가자들의 발표가 끝나면 심사위원들의 질문이 이어졌다. 중·고등부 심사는 김정인 파프리카랩 대표, ... ...
한국인 5명 중 1명 겪는다는 '불안애착' 관리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통해 관리하는 부정적인 감정으로 선택했다. 연구팀은 회의를 거쳐 여러
아이디어
중 질문이 인쇄되고 펜으로 답변하는 디바이스를 최종 선정했다. 이 디바이스는 부정적 감정을 인식하고 긍정적 사고를 유도하며 문제를 성찰하도록 돕는다. 불안애착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집에 설치해 실험을 ... ...
중고생이 퀀텀닷·파노라마가상현실 개발…"노벨상서
아이디어
얻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4.10.22
22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실에서 퀀텀닷스타즈 팀이 전국과학전람회 수상 작품 설명 및 시연을 진행하고 있다. 문세영 기자. 과학고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나노 크기의 미세한 반도체 입자인 ’퀀텀닷(양자점)‘을 기반으로 휴대용 자외선 가시광선 분광법(UV-Vis) 키트를 개발해 대통령상을 받았다. ... ...
[사이언스영상] 달 거주 우주인 배출 쓰레기 재활용?
SEIZE
l
2024.10.22
가상본을 만드는 '디지털 트윈 트랙'이다. 두 트랙은 모두 두 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아이디어
는 9월 30일 접수받기 시작했고 내년 3월 31일 접수를 마감한다. 2단계 공모 일정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1단계 우승자는 내년 5월 발표된다. 두 트랙에서 각 8명이 총 상금 100만 달러(한화 약 14억 원)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
2024.10.13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을 활용해 구조 예측 연구를 진행하던 중 그는 한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
를 떠올렸다. 단백질의 서열로부터 구조를 예측해 기능을 연구하는 대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구조를 찾고 이에 맞는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었다. 베이커 교수 연구팀은 20 ... ...
"연구책임자는 치어리더"…제자가 말하는 베이커 교수의 이유 있는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성과’로 선정될 정도로 획기적인 결과였다. 베이커 교수의 제자들은 이같은 혁신적인
아이디어
는 베이커랩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였기에 나올 수 있었던 성과라고 강조했다. 베이커랩의 문화는 한국에서도 하나 둘 꽃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이 교수는 "베이커랩에서 배운 연구실 문화를 ... ...
"AI 과대광고에 당했나"…노벨 과학상 몰아준 AI 둘러싼 논쟁 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속한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점점 복잡해지는 AI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물리학
아이디어
가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스위스 로잔연방공대의 통계물리학자인 렌카 즈데보로바는 "기계학습을 연구하려면 물리학의 사고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1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조르조 ... ...
소행성에서 우주인 식량 얻을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있다. 소행성을 분해한 부산물을 먹는 박테리아가 독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아이디어
가 실현되려면 소행성 채굴 능력과 필요한 박테리아를 마음껏 조달할 수 있는 박테리아 공장도 필요하다. 실제로 많은 소행성에 박테리아가 좋아하는 탄소유기물이 들어있을 지도 확인해봐야 한다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접으면' 처음 보는 단백질의 구조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이것이 MSA 알고리즘의 핵심
아이디어
다. AI는 무작위처럼 보이는 데이터 뭉치에서 규칙성을 찾아내는 능력이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 알파폴드는 AI를 이용해 수만 개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공진화 쌍을 빠르게 찾는다. 그리고 공진화 쌍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