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
뜻밖
우연성
불안
추측
요행
뉴스
"
우연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로벌 북카페]과학책으로 ‘새뮤얼 존슨상 수상’… 스티브 실버먼의 ‘신경족’
동아일보
l
2015.12.14
이후 실버먼은 다른 인터넷 개발자의 조카도 자폐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우연
에 흥미를 가진 그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IT 종사자 자녀들 중 많은 수가 자폐증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흔히 ‘너드(nerd)’라고 불리는 IT 천재들의 또 다른 공통점은 사회생활에는 극도로 서투르다는 ... ...
걸그룹 브아걸 입에서 나온 말이 '힉스' '웜홀' '프랙탈'?
2015.11.06
아인슈타인의 “신은 주사위놀이를 하지 않는다”라는 말에서 차용한 것으로
우연
이 지배하는 양자역학의 세계에 대한 불신을 의미한다. 토머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주장한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도 노랫말에 들어 있다. 쿤은 과학이 발전이 아니라 완전히 뒤바뀌는 혁명을 ... ...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26
곤충기(김진일 완역)’의 맥을 이어 3대째에서 ‘정부희 곤충기’가 탄생한 셈이다.
우연
은 없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0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제공 ■ 생명 그 자체: 40억년 전 어느 날의
우연
(프랜시스 크릭 著, 김영사 刊) 게임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종족 ‘프로토스’와 ‘저그’는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과학문명을 이룩한 ‘젤나가’라는 고대 종족이 진화 과정에 개입해 임의로 만들어낸 존재들이다. ‘생명 그 자체’는 DNA가 ... ...
원하는 대로 설계하고 만드는 제올라이트
2015.07.16
현재 외국계 회사와 함께 상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논의 중이다. 홍 교수는 “
우연
에 의해 합성되던 제올라이트를 원하는 대로 설계해서 만들 수 있게 됐다”며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경우 대량생산 기술만 갖춰지면 곧 상용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조 분석에 쓰인 제올라이트 ... ...
솔직히, 터미네이터가 인간을 위협할 수 있을까요
과학동아
l
2015.06.26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지금까지 알려진 지능 창발은 대부분 기계가
우연
히 내놓은 결과”라며 “이를 지능이 생겼다고 해석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 인간의 뇌 2.5PB 용량 저장 지능 창발의 기본이 되는 물리계는 인간의 뇌다. 하지만 인간은 여전히 뇌에 대해 아는 게 거의 ... ...
어둠 속에서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을 보았네
2015.05.17
변하는 멜로디가 π를 연상시킨다. 소설에 등장하는 한 모텔의 방 번호가 314인 것은 결코
우연
이 아닐 터. 이 책에 등장하는 끊임없이 새로우면서도 서로 중첩되는 이야기는 세헤라자데가 목숨을 걸고 지샌 천일 밤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리고 작가는 미궁과도 같은 이 소설의 끝을 맺는 마지막 ... ...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2015.02.25
꽃을 피우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 노년층의 비율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은 단순히
우연
일까요. 저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봅니다. 예술과 상징은 추상적사고와 연결됩니다. 또 정보를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이 있지요. 예술과 상징이 늘어났다는 건 그만큼 정보의 전달이 중요해졌다는 ... ...
숙녀의 변비약은 어떻게 탄생했나
2015.02.22
팔기 시작했다. 음식과 염료의 잘못된 만남이 설사약의 아이디어가 된 것이다.
우연
과 행운이 만든 획기적인 발명품들을 이 책을 통해 만나보자. 봄봄스쿨 제공 ■ 물리선생님도 몰래 보는 물리책 (와타나베 요시테루 著, 봄봄스쿨 刊) 중·고교생들에게 가장 싫은 과목을 묻는다면 세 손가락 안에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암 예방 노력은 여전히 매우 중요하며 줄기세포 분열과 오류 횟수가 단순히 시간과
우연
의 곱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1월 2일자 논문의 저자인 토마세티와 보겔스타인은 한쪽 반 분량의 답신에서 “이번 논쟁은 ‘암을 일으키는 돌연변이의 원인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놓고 벌어지고 있다”고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