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원주"(으)로 총 2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성 봉포호, 광포호] 어느 날 갑자기, 외래종의 습격! 봉포호, 광포호2016.09.29
- 진행된 석호다. 현재도 빠르게 육화가 진행되고 있어 안타까움이 크다. - 고종환 제공 원주지방환경청, 고성군, 군부대, 환경단체 등이 함께 생태계 교란식물이 개화하기 전 대대적인 제거 활동을 펼친다. 하지만 이것으론 번식 속도를 따라잡을 수 없다. 고성군에서는 환경감시대원들이 정화 활동을 ... ...
- [고성 화진포호] 화진포호, 순환점에 서다 2016.09.22
- 일어나는 갯터짐을 볼 수 있는 날도 꿈꿔본다. ※ 화진포호 석호 탐방에 도움을 준 원주지방환경청 남정희 주무관, 고성군청 안수용 주무관, 화진포호 환경감시반장 김성수 님, 환경정화작업팀장 강근우 님, 토성면 환경감시반장 엄종현 님께 감사 인사를 전한다. ※ 필자소개 고기은. KBS, MBC ... ...
-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송지호’만 같아라 2016.09.15
- 당신의 지친 몸과 마음도 이곳에서 쉬어가면 좋겠다. ※송지호 석호 탐방에 도움을 준 원주지방환경청 남정희 주무관, 고성군청 안수용 주무관, 토성면 환경감시반장 엄종현 님, 죽왕면 환경감시반장 조명환 님께 감사 인사를 전한다. ※ 필자소개 고기은. KBS, MBC 방송구성작가, 소셜커머스 ... ...
- [속초 청초호] 바다가 된 호수, 청초호 2016.09.08
- 청초호의 면적 변화. 1990년대 호수의 약 3분의 1이 매립되면서 규모가 대폭 줄었다. - 원주지방환경청 제공 개발은 계속되었다. 1990년대 유원지를 만들고 강원국제관광엑스포를 유치하면서 부지 조성을 위해 청초호의 갯벌 지역을 매립했다. 이 때문에 호수의 약 3분의 1이 사라지고 말았다. 호수가 ... ...
- [강릉 향호] 엄마의 마음을 닮은 향호를 다시 걷다2016.09.01
- 깊어지진 않았을 것이다. 향호 면적 변화.1910년대 42만㎡에서 현재는 34만 5천㎡다. - 원주지방환경청 제공 수심이 깊어진 이유는 따로 있다. 동해안 석호의 저층은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모래로 돼 있는 저층, 펄로 돼 있는 저층, 그리고 이 두 가지가 혼재된 저층으로 나뉜다. 향호의 저층은 ... ...
- [속초 영랑호] 영랑의 마음이 머무는 석호로의 여행 2016.08.25
- 옛 문헌에 의하면 영랑호 주위가 30여 리(약 12km)에 달했다고 한다. 현재는 약 7.7km다. - 원주지방환경청 제공 수질은 점차 좋아지기 시작했다. 영랑호는 다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휴식처가 되었다. 하지만 또 다른 위기를 맞았다. 해수 순환을 위해 트인 하구가 도리어 잉어, 붕어의 생존을 위협했다. ... ...
- [강릉 순포호, 양양 매호] 다시 살아날 석호! 순포호, 매호의 재발견 2016.08.18
- 천연기념물 제229호인 백로, 왜가리(왼쪽). 멸종위기종인 갯봄맞이(오른쪽). - 고종환, 원주지방환경청 제공 매호 생태복원사업을 통해 예전 규모의 80% 이상 복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매호 생태복원사업에도 경포호처럼‘UNESCO MAB(Man And Biosphere Program)-인간과 생물권 프로그램’개념을 도입해 핵심, ... ...
- [양양 쌍호, 가평리 습지]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호수로의 여행 2016.08.11
- 양양 쌍호, 가평리 습지 뷰레이크 타임을 마무리하며 우선 양양 석호 탐방에 도움을 주신 원주지방환경청 남정희 주무관, 양양군청 김정식 계장, 오산리 선사유적 박물관 김형석 학예연구사, 이미리 문화해설사에게 다시 한번 감사 인사를 전한다. 반전이 있던 쌍호. 그리고 반전을 기다리는 ... ...
- [강릉 경포호] 50년을 기다려 살아난 가시연, 되살아난 경포호 2016.08.04
- 약 160만㎡ 면적에 둘레가 12km나 되는 석호였던 경포호. 현재는 약 89만㎡, 둘레는 4.3km다. - 원주지방환경청 제공 호수의 크기도 대폭 줄어든다. 1970년 초, 경포호로 흘러오던 경포천과 안현천 두 물길을 곧바로 바다로 흘러들도록 직강화했다. 하천물길의 유입이 끊겼다. 하구에 보를 설치해 바닷물도 ... ...
- [강릉 풍호] 풍호마을 연꽃축제로 풍호의 추억 소환!2016.07.28
- 갖고 있어 희소가치가 높다. 그런 석호가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 동해안 석호 지도. - 원주지방환경청 제공 현재 18개의 석호가 분포하고 있는 동해안. 이 중에서 석호로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건 절반도 되지 않는다. 석호는 현재 어떠한 모습일까. 왜 점점 사라져 가는 것일까. 사라져 가는 것을 ... ...
이전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