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해
놋쇠
유철
주각
각주
기록
해설
뉴스
"
주석
"(으)로 총 214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점 이용해 유기태양전지 효율 18% 끌어올려
2016.02.23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 KIST 제공 연구진은 유기태양전지에 주로 쓰이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전극 위에 빛을 잘 흡수하는 산화아연-그래핀 양자점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산화아연-그래핀 양자점은 산화아연 나노입자에 그래핀을 껍질처럼 감싼 형태다. 이렇게 만든 소자는 ... ...
역대 최고 용량 리튬이차전지 개발
2016.02.16
조용훈 강원대 교수팀이 개발한 다공성 고용량 리튬이차전지의 모식도. - 사이언티픽리포트 제공 스마트폰이나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이차전 ... 사이에 금속(구리) 분말을 가뒀다가 얼음을 제거해 다공성 구조체를 만들고, 이후 산화
주석
을 겔 형태로 제조해 코팅했다. - 사이언티픽 리포트 ... ...
홍합과 오징어빨판 따라했더니 선박에 달라붙던 해양물질 사라져
2016.02.01
이를 막기 위해 기존 방오소재를 도포하면 동식물이 달라붙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주석
과 수은, 구리 화합물을 주원료로 쓰는 탓에 해양 생태계를 해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홍합이 물 속에서 여러 표면 위에 붙기 위해 만드는 단백질인 카테콜(catechol)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면서도 ... ...
주석
응고되는 231.928도, 韓 세계에서 제일 정확하게 맞춰
2016.01.14
20도에 이르는 온도 변화를 순간적으로 매우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주석
은 수은 등 다른 표준 물질과 달리, 온도를 응고점 아래로 최소 20도 이상 낮춰 과냉각시켰다가 급속도로 가열해야만 응고되기 때문이다. 정 연구원은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온도 표준을 실현했다는 ... ...
폭발 위험 없는 배터리 나온다
2015.12.29
메탄올 용액에 녹인 뒤 요오드화리튬(LiI)를 첨가한 것이다. 이 전해질은 용액에 잘 녹는
주석
기반 화합물의 특성과 전기가 잘 통하는 요오드화 리튬의 성질을 모두 갖추고 있다. 정 교수는 “기존 고체전해질은 용액에 잘 녹지 않아 코팅 용액을 만드는 게 불가능했고, 어렵게 ... ...
[토요기획]집무실-침실-회의실 갖춘 ‘날아다니는 청와대’
동아일보
l
2015.12.26
향했다. 기자들과 인사를 나누던 중 박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
과 정상회담에서 나눴던 대화 내용을 전격적으로 공개했다. “앞으로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 중국과 같이 협력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반도 평화통일을 어떻게 이뤄 나갈 것인가에 대해 ... ...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 만들었을까
2015.12.12
일 최근 개·보수를 마친 평천혁명사적지 시찰에 나선 김 위원장이 “우리 수령님(김일성
주석
)께서 이곳에서 울리신 역사의 총성이 있었기에 오늘 우리 조국은 나라의 자주권과 민족의 존엄을 굳건히 지킬 자위의 핵탄, 수소탄(수소폭탄)의 거대한 폭음을 울릴 수 있는 강대한 핵보유국으로 될 수 ... ...
마구 접고, 마구 구겨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12.01
5~26%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태양전지에 쓰이는 플라스틱 기판과 인듐
주석
산화물(ITO) 전극은 변형이 일어나면 쉽게 깨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기판 대신 형상 기억 고분자를 평평하게 만들어 태양전지 틀로 ... ...
“실패 거듭해도 포기는 없다”… 노벨의학상 수상 中-日 교수 ‘한우물 열정’
동아일보
l
2015.10.07
귀한 재산이 있다”면서 ‘중의약이 위대한 보물창고’라고 했던 마오쩌둥(毛澤東) 전
주석
의 발언을 소개했다. 투 교수가 근무하던 중국중의과학원은 1969년 마오쩌둥의 지시로 약초를 이용한 항말라리아제를 개발하라는 임무를 부여받았고 당시 38세였던 투 교수는 보조연구원 신분으로 ... ...
글 도둑 막는 수학
수학동아
l
2015.08.04
개수다. 이때 출처가 표시된 어절은 다른 글에서도 발견됐더라도 제외한다. 큰따옴표,
주석
등을 써서 다른 글에서 인용했다는 것을 밝힌 문장은 표절로 보지 않는다. 표절한 정도를 정확히 계산하려면 우연히 같을 수 있는 문장을 가려내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컴퓨터는 사람처럼 판단할 수 없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