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꼬리별
추성
살별
미성
뉴스
"
혜성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 탐사선 ‘주노’ 7월 4일 목성 궤도 진입
2016.05.09
태양에너지 우주탐사선으로는 가장 멀리 비행한 기록을 세웠다. 이전 기록은 2012년 10월
혜성
‘67P/추류모프-게리시멘코’에 도착한 로제타 탐사선이었다. NASA 측은 “주노는 현재 상태가 매우 좋으며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주노는 목성 구름의 비밀과 목성이 가지고 있는 초기 태양계 ... ...
통신 두절 4일째,日 천체관측위성 ‘히토미’
2016.03.30
태양빛을 받지 못해 전력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착륙 64시간 만에 방전된 유럽의
혜성
탐사로봇 ‘필레’도 끝내 전력 보충에 실패하면서 결국 지난달 영구 동면 상태에 들어갔다. 고 교수는 “가장 먼저 통신 장애가 해결돼야 한다”며 “통신이 되면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 ...
혜성
에 간 ‘로제타’도 명왕성 간 ‘뉴호라이즌스’도 ‘이것’ 탑재
2016.03.25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제작됐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2014년 인류 최초로
혜성
의 표면을 촬영한 탐사선 ‘로제타’와 지난해 지구에서 약 50억 ㎞ 떨어진 태양계 최외곽의 명왕성을 촬영한 탐사선 ‘뉴호라이즌스’에 탑재된 카메라는 모두 ‘실리콘 카바이드(SiC)’로 제작됐다. 심(深 ... ...
[토요판 커버스토리]“알파고, 나랑 붙자!”
동아일보
l
2016.03.19
조훈현 9단이 녜웨이핑 9단을 3-2로 물리치고 응씨배에서 우승함과 동시에 이창호 9단이
혜성
같이 등장했을 때였다. 조훈현 9단이 응씨배에서 우승한 뒤 귀국했을 때는 김포공항부터 한국기원(당시 서울 종로구 관철동)까지 카퍼레이드를 하기도 했다. 바둑계는 이번이 앞선 두 번보다 더 강한 ‘세 ... ...
태양과 가장 가까운 수성, 달보다 어두운 이유
2016.03.08
래리 니틀러 메신저 임무 부수석연구원(카네기연구소 주임연구원)은 “탄소가
혜성
을 타고 수성으로 옮겨졌을 것이라는 종전의 시뮬레이션 예측과는 다른 결과”라며 “수성이 어두운 이유가 탄소 성분 때문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는 직접적인 증거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 ...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02.27
말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으로부터 약 1000~10만AU 떨어진 곳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혜성
의 구름이다. 이 세드나가 바로 ‘행성 X’ 가능성을 부활시킨 주인공이다. 세드나를 필두로 근일점이 30AU(해왕성 궤도)보다 크고 장반경이 150AU보다 큰 천체가 이후 몇 개 더 발견됐다. 세드나를 발견한 마이클 ... ...
굿바이, 필레~ 인류 첫
혜성
탐사선 영구 동면 들어가
2016.02.16
80%에 이르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필레는 처음 작동을 시작한 64시간 동안
혜성
표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토양의 화학 성분과 반감기, 온도 등을 측정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냈다. 마크 매코그린 영국 엑서터대 교수는 “필레가 수집한 데이터 분석에만 수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며 ... ...
[광화문에서/윤신영] ‘오래된 미래’를 쓰는 SF와 과학 잡지
2016.01.19
과학자들이 상주하고 있다),
혜성
의 궤도를 계산했다는 소식(최근엔 아예 탐사선이
혜성
에 가 그 위에 착륙도 한다) 등이, 당대를 흥분시킨 과학으로 소개되고 있다. 과학 잡지는 과학의 시대라고도 할 수 있는 근대를 기록한 매체다. 근대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역사의 흐름을 바꾼 사건의 이면에는 ... ...
과학동아 창간 30년, 1986 그때 그 시절 과학
과학동아
l
2016.01.08
30주년을 맞았다. 1986년 1월 창간호 표지 기사는 76년 만에 지구를 찾은 핼리
혜성
이었다. 한국과학기술대(KIT)의 3월 개원 소식도 담겼다. 한국과학기술대는 KAIST의 전신이다. 과학동아와 ‘86학번 동기’로 시작한 KAIST 86학번 3명을 만났다. 이들은 현재 모교인 KAIST 교수로 있다. 지금은 KAIST가 국내 ... ...
오늘(4일) 밤, 올해 첫 ‘우주쇼’가 펼쳐진다
2016.01.04
유성우’가 4일 밤 12시를 전후로 절정을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고 3일 밝혔다. 유성우는
혜성
이나 소행성 등이 우주공간을 지나면서 생긴 크기 수㎜인 부스러기들이 초속 30~70㎞의 빠른 속도로 지구에 진입하면서 지구 상공 80~120㎞의 대기권 상층부와 충돌할 때 생긴 마찰로 불타 빛나는 현상이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