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스페셜
"
대형
"(으)로 총 799건 검색되었습니다.
LEO는 지금 민간 우주정거장 건설 붐
동아사이언스
l
2021.12.13
허황된 이야기가 아닌 기대되는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주산업 전문가들은
대형
발사체 개발과 미국의 지구저궤도 상업화 프로그램이 순조롭게 추진되면 우주경제도 더욱 확장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우주 전문 벤처캐피털(VC) 스페이스캐피탈이 지난 10월 내놓은 ‘우주투자 ... ...
[코리아스페이스포럼2021]누리호가 발사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건
2021.12.07
진행중이다. 레빌론 CEO는 “많은 기업들이 신뢰도를 갖추기 위해 작게 시작한 이후 점차
대형
으로 늘려가기 때문에 발사 능력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발사체 기업들이 위성까지 직접 제작하는 것 또한 추세로 진단했다. 레빌론 CEO는 “향후 3~5년간 경쟁이 심화할 것이기 때문에 기업의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소형발사체 체계 기술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지구를 벗어나 우주로 나아간다. 우주 발사체에 실을 수 있는 중량에 따라 소형과 중
대형
발사체로 나뉜다. 최근 소형 위성 발사 수요가 늘면서 소형 우주 발사체 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KSLV-II) 사업으로 확보한 기술을 기반으로 탑재 중량 500kg 수준의 소형 ... ...
[우주산업 리포트]중국판 뉴스페이스 엿보기
2021.12.03
있다”는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의 보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홍윤이 초
대형
우주 인터넷 프로젝트 ‘궈왕’(Guowang)에 흡수됐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궈왕은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처럼 지구 저궤도에 13,000여 개 통신위성을 올려 전 지구를 연결하는 우주 인터넷망 구축 프로젝트다. ... ...
남미서 초식동물 사라지자 역대급 산불 잦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필요성은 역설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야생 초식 동물 개체 감소와 가축 밀도의 증가가
대형
산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데 이번 연구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현재 존재하는 초식 동물 군집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초식 동물 군집 변화와 대규모 화재의 상호작용을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육군 "UAM 한반도 도시지역 작전서 유용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움직이는게 유리한 지형”이라며 “지상군은 항상 날고 싶어한다”고 소개했다. 헬기와
대형
수송기들에 이어 현재는 UAM을 비롯한 무인항공기(UAV)가 새로운 전력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각국의 민간 기업들이 UAM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UAM의 군사적 활용도 또한 ... ...
38년 전 적외선 관측 자료 다시 들춰 찾아낸 제9 행성 후보
연합뉴스
l
2021.11.18
가동되면 제9 행성의 존재에 대한 답은 일찍 나올 수도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초
대형
디지털카메라를 장착하고 주 단위로 하늘 전체를 탐사하는 데다, 인공지능을 이용해 관측 자료를 걸러내면 이전보다 제9 행성의 존재 여부를 가리는데 더 가까이 다가서게 된다는 것이다. 제9 행성이 확인되면 1 ... ...
노도영 IBS 원장 “다음 10년 선수보다는 유망주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8
에 세계 최고 수준의 레이저 시설을 지었다”며 “그간 개별 연구로는 구축할 수 없었던
대형
인프라를 마련한 것도 주요 성과”라고 짚었다. 기본계획이 여러 차례 미뤄지며 논란이 되고 있는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대해 노 원장은 “계속 연기가 돼 국민 여러분에게 죄송하다”며 ... ...
아르테미스 달탐사 선발대로 나서는 우주비행 베테랑 '스누피'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부딪혀도 충격이 없도록 했다. 아르테미스 1은 심우주탐사를 위해 NASA가 개발중인
대형
로켓 ‘스페이스론치시스템스(SLS)’와 유인 우주선 ‘오리온’의 첫 비행 성능 검증을 위해 2022년 무인 비행으로 진행된다. 이번 발표로 아르테미스 1에는 기존에 탑승 예정이던 마네킹 2기와 함께 스누피 ... ...
100배 빠른 우주 광통신 기술 국내서도 개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지구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이 확보한 자료를 전파 형태로 지상 기지국에 설치된
대형
파라볼릭 안테나에 송신하는 식이다. 전문가들은 이 방식이 머지않아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고 지적한다. 김정훈 에스이티시스템 대표는 “군집 위성, 큐브 위성이 개발되면서 전 세계가 무수히 많은 인공위성을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