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엠"(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전기로 앞을 보는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일리 : 그러면 전기로만 앞을 보는 거니?코끼리주둥이고기 : 독일 본대학교 게하드 폰 더 엠 교수팀은 코끼리주둥이고기가 시각과 전기 두 개를 마음대로 바꿔가며 사용한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여러 개의 감각을 사용하는 건 그동안 뇌가 발달한 포유류에서만 발견됐기 때문에 연구팀은 깜짝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12
-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HIV에 감염되지 않은 2499명을 대상으로 하루 한번 테노포비르와 엠트리시타빈 복합제(트루바다의 성분과 동일) 한 알을 복용하게 했다. 이들의 상당수는 HIV감염 고위험군에 속했다. 시험군은 실제 약을, 대조군은 위약을 복용시킨 결과, 대조군에서 64명의 신규 감염자가 나올 ...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601
- 가상의 수학자 ‘제임스 모리아티’19세기 빅토리아 시대에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아서 코난 도일’의 추리 소설에는 사설 탐정 ‘셜록 홈즈’와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군의관으로 일하다 돌아온 의사 ‘존 왓슨’이 등장한다. 알쏭달쏭한 사건을 완벽하게 해결하는 모습은 수많은 팬을 사로 ... ...
- 참매미의 새벽 대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514
- 참매미는 한 장소에 지긋이 앉아 오랫동안 노래하지는 않아요. “맴~ 맴~ 맴 매에에에 ~~~엠” 하고는 휙 날아가 버리지요. 왜 그럴까요?나무 아래에서 노래하는 참매미는 다른 동물들의 위협에 쉽게 노출이 돼요. 이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는 나무의 밑동 근처에 개미들이 끊임없이 오가는데, 개미들이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05
- 디지털 음악을 만드는 미국의 유명 프로듀서이자 ‘블랙 아이드 피스’의 리더 윌아이 엠, 페이스북의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까지…. 그들은 하나같이 SW가 상상하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고 입을 모았다.현실에선 하늘을 날 수 없지만, 컴퓨터 속에서는 날 수 있다. 실제 피아노 연주를 할 줄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05
- 얼굴은 옆을 향하는 이집트 여인을 그리기도 했다. 수학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웹 엠 네프렛 왕자의 무덤 현판’을 따라 그리기도 했다. 이 유물을 처음 봤을 때는 그저 화려한 예술작품처럼 보였다. 하지만 알고 보니 이 현판에는 왕자가 살아 있을 당시 가지고 있던 재물, 즉 산양 1000마리와 소 100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02
- 캐나다에 본사를 둔 ‘바이오닉파워’사는 사람 다리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파워워크엠(PowerWalk M)’이라는 기기를 개발 중이다. 미국 해병대가 실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MIT와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0.9~3mW 발전이 가능한 전투화 시제품을 내놓기도 했다.국내에서도 연구가 ... ...
- 찰흙으로 전기를 저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24
- 물질로 만들어졌어요. 엠진은 금속처럼 전기가 잘 통하고 물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요. 엠진에 물을 주면 찰흙처럼 모양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지요.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이 찰흙 전지가 1㎤ 당 900패럿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충전과 방전을 1만 번 거친 후에도 저장 용량이 거의 줄어들지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이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에너지센터장)과학동아 l201311
- 정착에 힘써온 과학자 두 명을 함께 소개했다. 대체에너지 전문기업인 신한에너지(현재 엠에너지)의 유종우 박사와 에너지연의 동료 과학자인 이영재 박사다. 이영재 박사는 바이오디젤을 일일이 실제 차량에 테스트 해 가며 환경오염이 적고, 연료효율도 높다는 점을 실증해 낸 과학자다. 유 박사는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09
- 연결, 즉 시냅스를 찾은 뒤 광학현미경으로 추적해 쥐의 신경망 지도를 만들고 있다. ‘엠그래스프(mGRASP)’라는 기술이다. 먼저 GFP 분자를 두 부분으로 나눈 뒤 서로 가까워지면 마치 스위치가 켜지듯 형광을 내도록 조작했다. 그 뒤 쪼개진 GFP를 시냅스 전후에 있는 신경세포 끝에 각각 넣었다. 만약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