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탄도"(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 [DJ CHO의 롤링수톤] 걸어 다니는 오케스트라 한스 짐머의 ‘오일러 방법’수학동아 l201706
- 미국과 러시아가 치열한 우주개발 경쟁을 벌이던 1962년이 배경입니다. 당시 나사는 탄도 미사일인 아틀라스 로켓을 개조해서 사람을 우주로 보내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지요. 주인공 캐서린은 천재 수학자이지만 흑인 여성이기 때문에 시답잖은 일만 하고 있습니다.사람을 태운 캡슐을 ...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02
-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궤도 스테이션에서 두 번 탄창 컨테이너를 강하해 줘서 잔탄도 충분하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모든 것이 다음 공격을 위한 시간 벌기에 불과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고, 그래서 30초 정도 지난 뒤 새로운 공격이 시작되었을 때에도 전혀 놀랍지 않았다.그렇지만 ... ...
-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수학동아 l201701
- 다른 잡음 문제평탄도 문제 빛이 센서에 도달하는 동안 방해물에 의해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해가 진뒤나 뜨기 전에 균일한 상태의 하늘을 찍은 사진을 활용해 보정한다.암전류 문제 센서에 들어오는 빛을 가리고 300초 동안 촬영하면 센서의 전기적인 성질로 인해 ... ...
-
- [과학뉴스] 핵탄두과학동아 l201610
- 사용하고 있는 미사일은 스커드, 노동, 무수단 등입니다. 최근에는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SLBM)까지 등장했죠. 이들 미사일이 실을 수 있는 탄두 중량은 650~1000kg입니다. 핵탄두를 650kg 이하로 만들면 모든 미사일에 핵폭탄을 탑재할 수 있다는 얘기죠.전문가들은 북한이 탄두를 가볍게 ...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3
- 탄두를 파괴하는 타격비행체(kill vehicle)로 이뤄져 있다. 이 타격 비행체가 직접 적의 탄도미사일에 부딪쳐 운동에너지만으로 탄두를 파괴한다. 이를 ‘힛투킬(hit-to-kill)’ 방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타격비행체는 최대 지름이 37cm, 전체 길이는 약 195cm다. 농구 선수 키 만한 철심으로 수 t에 달하는 ... ...
-
- [과학뉴스] 미사일이 아니죠~ 발사체라고요!과학동아 l201603
- 때문에 보통 유도 기능을 갖고 있고, 따라서 로켓보다 제어하기가 어렵습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은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대기권으로 진입해 목표물을 향해 떨어지는데, 이 때 엄청난 열과 압력을 견뎌야 합니다. 많은 과학자들은 북한이 아직 이런 기술까지는 가지고 있지 않을 ...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02
- 않은 화약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다. 반면 증폭형은 소형화가 쉬워 대륙간탄도미사일에도 장착이 가능하다.폭발 규모로 어렴풋이 추측하는 것 외에, 보다 확실한 방법은 없을까. 대기 중 제논의 동위원소 비율을 통해 추정할 가능성은 있다. 핵실험 직후에 만들어지는 대량의 고에너지 ...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10
- 적게는 7시간에서 많게는 20시간까지 필요한 일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 탄도연구소 관계자는 획기적으로 계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소식에 미국펜실베니아대 공과대학 존 모클리 교수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모클리 교수는 주로 계산기계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었다. ...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08
- 효율적인 우주선 궤도도 등장하고 있다. 미국 프린스턴대 에드워드 벨브루노 박사팀의 ‘탄도포획궤도’도 그 중 하나다. 지구에서 화성까지 가는 궤도로, 화성의 중력 영향권에 진입해 화성이 우주선을 포획해 끌고 가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역추진 로켓도 필요 없다. 호만전이궤도와 달리 ... ...
-
- [Fun] 수학과 과학은 답을 알고 있다? 천만의 말씀!과학동아 l201503
- 있다. 예컨대, 뉴턴 이전에 만들어진 권총은 ‘대충’ 목표를 맞출 수 있게 만들어졌다. 탄도학이 아직 정립되지 않아 엄밀한 계산에 따라 권총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물리학이 권총을 만드는 데 정답을 주지 못했다는 얘기다. 의학도 마찬가지다. 유명한 예로, 감기약은 감기 증상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