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국인
지나
한국인
d라이브러리
"
한인
"(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08
그냥 그렇게 함께 지내는 친구(親舊)입니다. 지금까지 줄곧 그래 왔듯이요.”정재웅2004년
한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교수2006년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외래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케크의과대 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분자생물학 및 면역학과 학과장2012년 제22회 호암상 의학상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
과학동아
l
201301
광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것으로 기대된다.]재미
한인
과학자가 이끈 국제 연구팀이 빛을 아주 작은 점에 집중시켜 태양 표면보다 100만 배나 높은 밀도로 모으는 데 성공했다. 광통신 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안겨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주혁 미국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10
이 사업이 IT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하려면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 할까. MIT미디어랩의
한인
연구원들은 ‘기업의 균등한 투자 분배’와 ‘성패에 관계없이 과정을 중시하는 태도’를 필수요소로 꼽는다. MIT미디어랩처럼 창의적인 연구를 장려하는 토양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인문학과 ... ...
‘내 머릿속 지우개’ 정체 첫 규명
과학동아
l
201007
잃고 마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기억 장애가 일어나는 원인을 영국에서 활동하는
한인
과학자가 알아냈다.영국 브리스톨대 의대 조광욱 교수와 조지훈 박사 연구팀은 뇌에서 신경세포의 사멸을 조절하는 NMDA 수용체가 시냅스에서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해 기억력과 학습 능력을 ... ...
줄기세포로 청각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6
청각세포로 만드는 방법을 재미
한인
과학자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알아냈다.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줄기세포연구소 신근유 박사(사진)는 “쥐의 줄기세포를 청각 기능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달팽이관의 유모(有毛)세포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적 가치를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
과학동아
l
200808
일은 생각만큼 쉽지는 않았다.내가 실험을 하는 동안 지상에서는 우리나라와 러시아
한인
학교에서 지원한 초등학생 212개 팀 600여 명과 일반인 지원자 529명이 같은 실험 키트로 동시에 실험을 진행했다. 나중에 내가 우주에서 키운 씨앗과 지상에서 키운 씨앗을 비교해봤는데, 우주에서 키운 씨앗이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08
위성발사체, 우주센터, 우주인 배출 등 7개 사업 진행.-울트라 프로그램(Ultra Program): 해외
한인
과학기술자를 초청해 국내외 우수과학기술자간 네트워크 구축 (2006년 3월~2007년 5월, 총 8회 개최).4.은퇴단계-영년직연구원 제도: 우수연구원에게 영년직 연구원(tenure) 자격을 부여해 정년 보장.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06
마찬가지로 조선사람의 자치구였다는 의미도 띠고 있다. 때문에 지신허를 연해주 최초의
한인
마을로 인정하면 녹둔도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된다.혹자는 당시 조선 관리가 두만강 너머로 주민들의 출입을 법으로 엄격히 금했기 때문에 이런 간섭을 피해 함경도 두만강에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 ...
10. 아인슈타인 해 맞아 '빛의 제전' 열린다
과학동아
l
200501
수준에서 빛 릴레이를 진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한국물리학회와 재미
한인
물리학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오는 4월 21일부터 사흘간의 일정으로 국내에서 1905년에 발표된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주제로 합동학술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4월부터는 매주 전국을 순회하는 ‘대중과 함께 하는 ... ...
로또 공 무게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03
보이는 이 문제가 아직도 풀리지 않은 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다. 최근 발표된 재미
한인
물리학자의 이론을 중심으로 물리학계에서 활발한 논쟁이 벌어질 정도다.주위에서 다양한 알갱이들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모래를 비롯해 흙, 자갈과 같은 건축자재, 쌀과 보리와 같은 곡식, 그리고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