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갈색 판다 탄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가 순서대로 배열돼 있지요. 연구팀은 DNA에서 털색과 피부색을
결정
하는 ‘Bace2’ 유전자의 일부 염기가 갈색 털 판다에게는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자이언트 판다는 부모 판다에게서 Bace2 유전자를 각각 한 개씩 받습니다. 연구팀은 “부모 모두에게서 일부 염기가 빠진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내가 그린 자동차가 도로 위를 달린다면?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탄생하려면 많은 과정이 필요해요. 그중에서도 중요한 건 바로 자동차의 모습을
결정
짓는 ‘자동차 디자인’이지요. 어린이 기자가 자동차 디자이너를 만나 자동차 디자인의 비법을 물어봤어요. 김명준(8) 어린이 기자가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에 들어서자, 번쩍번쩍 ... ...
놀이터에서 뭐 하고 놀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대체되기도 해요. 지정우 소장은 “놀이터를 이용하는 주체인 어린이는 놀이터와 관련된
결정
에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 놀이터의 우선순위가 밀리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 ...
수학은 평화지킴이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 y와 a > b일 경우 b/a의 비율이 y/x의 비율 제곱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승리하는 쪽이
결정
된다. 란체스터 법칙이 잘 맞아떨어진 사례도 있지만, 실제 전쟁에는 변수가 많아 이 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란체스터 법칙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건 아니다. 이런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받는 돈의 액수가 아니라 자신의 기대치보다 얼마나 많은 보상을 받는지를 기준으로
결정
되는 걸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100원을 기대한 사람들이 90원을 받을 때보다 30원을 기대한 사람들이 50원을 받을 때 더 큰 행복감을 느꼈다. 이는 무조건 돈을 많이 받을수록 더 행복할 것으로 생각했던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런데 궁극적으로는 국회에서 사실에 기반한 합리적 의사
결정
이 이뤄지는 것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더 많은 과학자들이 정계와 공직으로 진출하게 만드는 롤모델이 됐으면 합니다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바다거북은 바닷가 모래에 알을 낳습니다. 새끼 거북은 주변 모래의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
되는데, 모래가 시원하고 촉촉하면 수컷이, 따뜻하고 건조하면 암컷이 부화해요. 그런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부화한 새끼 거북의 99%는 암컷으로 나타났습니다. 기후 위기로 따뜻하고 ... ...
[에디터 노트] 특이점과 빅뱅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찾아옵니다. 과학동아가 인터뷰한 후보자들이 과학기술자, 공학도다운 합리적인 의사
결정
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 긍정적인 혁신을 이끌어 내길 응원 하는 마음입니다.더불어 과학동아는 독자들이 특이점을 이해하고 변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그 역할을 해 나가겠습니다. 올해 초부터 연재 중인 ...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크게 두 종류가 있다. 육각형 격자 안에 구성원이 있냐 없냐에 따라서 침투 여부가
결정
되는 방식을 ‘자리 침투’라고 한다. 반면 모든 격자 안에 구성원이 있고, 대신 격자 사이에 연결 여부가 확률적으로 정해지는 침투 방식을 ‘결합 침투’라고 한다. 산불은 자리 침투 방식으로 알아본다. ... ...
부족한 백신, 누구부터 맞아야 할까?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게임이론’으로 분석했다. 게임이론은 개인이 얻는 이득과 비용을 고려해서 어떤 의사
결정
을 내리는지 분석하는 수학의 연구 분야다. 연구팀은 개인에게 방역 대책에 협력하거나 협력하지 않는 두 가지 선택지가 주어진다고 보고, 전염병 확산 상황에서 어떻게 협력을 끌어낼지 살펴봤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