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젓가락"(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우리나라에서만 숟가락을 쓰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사용하는 식사 도구는 각 나라의 음식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모두 쓰고 있습니다. 밥 먹을 때 숟가락 모양을 유심히 본 적 있나요? 우리나라에서 흔히 쓰는 숟가락은 비교적 편평하고, 직선 모양에 가까워요. 그런데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국자 같이 생긴 오목한 ... ...
- [찰칵! 전시회] 신기한 숫자 식탁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동그란 접시에 초밥이 한가득 놓여 있어요. 그 위의 젓가락은 마치 시곗바늘 같네요. 젓가락 끝이 가리키는 곳에는 피망 조각이 있는데, 그림 같기도 하고….아하! 로마 숫자로군요! 아래의 표를 보며 피망 조각이 어떤 수를 나타내는지 확인해 보세요. 매콤달콤 마야 식당! 가격은? 고춧가루 잔뜩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나카무라와 함께 전기 미각 현상을 응용하는 방법을 발표했다. 그는 빨대나 포크나 젓가락을 전기회로에 연결해 음식의 맛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이것이 이번에 이그노벨상을 받은 연구다. 흥미로운 사실은 미야시타 교수가 전기나 감각이 아닌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연구자라는 점이다. ... ...
- [기획] 노벨상의 패러디를 넘어서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미국 하버드대에서 발간하는 과학잡지 ‘있을 것 같지 않은 연구 회보’는 현지시간 9월 14일, 2023년 이그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올해의 발표는 예년보다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Part2.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사라지거나 느려진다! 구슬 마술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모습을 관찰한다. ☞결과 : 수정토, 물속에서 투명해진다!물컵에 젓가락을 담그면 젓가락이 휘어 보입니다. 공기를 지나는 빛이 물속에서 느려져 빛이 꺾이기 때문이죠. 빛은 어떤 물질을 통과하는지에 따라 통과하는 속도가 달라요. 한 물질을 통과하던 빛이 다른 물질을 만나면, 두 물질의 ... ...
- [Art Math] 수식과 그래프로 캔버스 채우는 화가 김현우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새로운 만족을 찾아 떠나는 셈이다. 그래서 화풍이 조금씩 계속 바뀐다. 붓 대신 나무젓가락으로 그림을 그려보기도 하고, 먹물로도 그린다. 이 작품을 모아 지금까지 개인전을 14차례나 열었다. 그리기 외에도 김 작가가 매일 빼놓지 않는 작업이 있다. 바로 글쓰기. 어린 시절 병원과 집만 오갔던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휜 형태를 유지한다. 이것을 ‘소성(plastic) 변형’이라고 한다. 소성 변형이 일어났을 때 젓가락을 이루는 금속 원자들을 들여다 보면, 힘을 받은 부분의 원자들이 옆으로 밀려나며 원자들 사이의 간격은 많이 벌어져 있다. 그럼에도 원자 간 결합이 완전히 끊어지지는 않는다. 금속 원자는 주변의 ... ...
- [똥손 수학체험실] 청팀 이겨라~! 백팀 이겨라~! 방구석 가을 운동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법 있나요? 친구들과 책상에 모여 작은 운동회를 열 수도 있답니다! 종이 몇 장과 나무젓가락, 빨대만 있으면 되지요. ‘어과수’ 가을운동회 첫 번째 종목은 바로 예요. 빨대를 후후 불어 애벌레 선수들이 꿈틀꿈틀 앞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거지요. 애벌레 선수들의 동글동글한 ... ...
- [가상 인터뷰] 산호는 회전 초밥처럼 음식을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요리를 맛보러 온 일리가 젓가락을 들고 한 입 먹어 보려 하는데, 눈앞에서 초밥이 움직이고 있잖아? 여기가 회전 초밥 식당이었나…. 알고 보니 산호가 회전초밥처럼 음식을 이동시켜 먹는 거였어. 왜 그렇게 밥을 먹는 건지 과학마녀 일리가 산호에게 물어봤어. 자기소개 부탁드려요.저는 ... ...
- [만화 뉴스] 찌릿! 전기 자극으로 짠맛 내는 젓가락!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때 나트륨이 30% 더 많은 짠맛과 비슷하다고 답했어요. 기린의 아이 사토 연구원은 “이 젓가락으로 나트륨 과다 섭취로 인한 고혈압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온 : 원자가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양전하나 음전하를 띠게 된 입자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