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자"(으)로 총 12건 검색되었습니다.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용해 STM을 1cm 공중에 둥둥 띄워 놓은 것이다. 이 때문에 실험실 바닥엔 STM을 둘러싼 해자 모양의 틈이 있다. 독자들은 틈을 가운데에 두고 한쪽 발은 STM쪽에, 나머지 한쪽 발은 그 바깥쪽에 걸쳐 진동의 차이를 직접 체험했다. “어지러워요!” “멀미나요!”라는 탄성이 여기저기서 터져나왔다 ...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모두 다섯 개가 있습니다. 그 중에 보존 상태가 가장 좋다는 남문으로 들어가다 보면 해자를 지나는 다리 양 옆으로 신과 아수라가 뱀의 몸통을 끌어안고 열심히 잡아당기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바로 앙코르 와트 부조에서 보았던 ‘우유 바다 젓기’ 신화입니다. 그런데 정문을 바라보고 ... ...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고유한 문화와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이다. 특히 치앙마이 도심 한복판에는 성벽과 해자를 기준으로 옛 것과 새 것이 공존한다. 성벽 안쪽에는 전형적인 옛 왕궁과 사원이 남아있고, 성벽 밖에는 현대식 주택과 상가들이 줄지어 서 있다.탐사대는 치앙마이를 대표하는 도이 수텝 사원을 찾았다. 사원 ...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제품 뒷면에 쓰인 ‘나노입자’라는 글자를 보기 전까진.금 나노입자 태아에게 쉽게 침투해자외선 차단제에 들어가는 산화티타늄은 보통 흰색이지만, 나노입자로 만들면 투명해진다. 차단제를 발랐을 때 얼굴이 하얗게 뜨는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눈을 커 보이게 하는 마스카라와 ... ...
-
- 우주지도분쟁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않은 작은 소행성은 극점이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정할 수 없다.경도는 합의로 정해야 해자전축과 적도, 극점, 위도가 해결됐으니 이제는 경도를 정해야 한다. 경도는 물리적인 기준이따로 없기 때문에 임의로 정한다. 지구와 달리 건물이나 도로가 없는 행성에서는 지형이 유일한 기준점이 되는데, ... ...
- 녹조라떼의 구세주 천연 조류제어제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없는 것이 특징이며, G20 정상회담 당시 경회루 연목과 창경궁 춘당지, 올림픽공원 몽촌해자 등에서 수질 개선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고 한다. 환경부랑 개인 업체가 공동으로 연구하여 개발한 제어제라고 한다. 비록 이것이 아직 환경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덜 입증 되었지만 정말로 ... ...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고구려는 발효음식이 발달한 나라였거든요. 고구려 후손이 세운 발해 때 기록된 ‘설문해자’에는 ‘콩을 소금과 함께 어두운 곳에 두어 삭혀 먹었다’는 얘기가 나왔다고 하네요. ‘삼국사기’에는 이보다 더 직접적으로 간장과 된장을 뜻하는 ‘밀장시’라는 단어가 나온다고 합니다.“기록에 ... ...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해자를 파고, 창과 출입문을 가능한 작게 만들어 외부인의 접근을 막았다. 셉테드에서도 해자를 현대적으로 다시 해석해 보행로와 저층부 사이에 물로 찬 공간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범죄자의 접근을 막을 뿐만 아니라 낮은 층에 사는 사람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아파트 저층에 ... ...
-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과학동아 l2009년 05호
- 관람객과 동물을 철책이 아니라 일종의 도랑인 ‘해자’로 분리하는 기법이 활용됐다. 해자는 관람객이 동물을 철책 사이로 들여다봐야 하는 상황을 개선했다. 무엇보다 동물을 바깥에 풀어 놓을 수 있는 수단이 됐다. 동물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야외를 거닐었다.이때에는 자연계에 있는 물체를 ... ...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과학동아 l2006년 09호
- 있지만, 전쟁무기로 투입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발명품도 꽤 많다.성을 공략하기 위해 해자(垓字, 땅을 파서 도랑처럼 만든 성의 경계)의 물을 끌어올려 빼는 양수기는 원래 아르키메데스가 버드나무를 깎아서 만든 장치를 개량한 것인데, 레오나르도는 지름을 줄인 호스를 여러 개 묶는 방식으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