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햇빛"(으)로 총 801건 검색되었습니다.
- KOLON one&only tower에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50816
- 여기서 깨알 우주 상식! 열이 이동을 할려면 공기가 필요한데요, 우주는 진공상태여서 “대류”가 불가능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햇빛은 지구로 부터 열이 전달이 될까요? 빛을 통해 열을 전달합니다. 이것을 “복사”라고 합니다. 열전도 실험을 통해서 전도, 대류, 복사의 개념을 알수 있었습니다. 실험2> 단열제가 들어간 집과 안들어간 집 ...
- 서울 마곡 에코롱롱을 가다! “신재생에너지 체험부터 우주 탐사까지, 오늘은 내가 과학자!”기사 l20250816
- //vmspace.com/ 외부를 감싸는 유리는 아라미드(유리섬유 기반 신소재)가 적용되어 빛을 막아주는 ‘커튼’ 역할까지 한다고 해요. 햇빛을 부드럽게 걸러 주면서도 단단하게 보호한다니, 멋과 기능을 동시에 잡은 진짜 똑똑한 외피라고 느꼈습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구조가 살짝 대각선으로 설계되어 있어 공간이 리드미컬하게 이어져요. 특히 2~ ...
- 김천 에코롱롱에서, 송하율 위원장님과 함께 한 기사 l20250813
- 큐브의 문이 열렸습니다. 쨔잔~~~ 처음 시작은 바로 ‘신재생에너지 체험관’이었어요. 풍력발전 터빈이 빙글빙글 돌아가는 모습, 햇빛을 받으면 반짝이며 전기를 만들어내는 태양광 패널,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불이 켜지는 압전발판까지! 정말 보는 것만으로도 재밌었는데, 직접 체험해보니 ‘아~ 이게 바로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순간이구나!’ 하는 감탄이 ...
- 친환경 에너지 창작소, 에코롱롱 큐브에 가다!기사 l20250726
- 조유경 우주기자 입니다.여러분! 기존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열, 지열등을 포함하여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사용하는 에너지는 무엇일까요?정답은 바로 신재생에너지 입니다!김천 에코롱롱 큐브에서는 직접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에너지 리더가 될 수 있는데요, 에코롱롱 큐브에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를 직접 체험해 보았습니 ...
- 우리가 더위를 먹는 이유!기사 l20250725
- 모자나 양산도 햇볕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한낮 야외활동 피하기 (오전 11시~오후 3시) • 이 시간대는 햇빛이 가장 강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운동이나 산책은 아침이나 해질 무렵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에어컨이나 선풍기 적절히 사용하기 • 너무 세게 틀면 ...
- [어과동 500호] 광합성을 하는 사람?!기사 l20250714
- 우리에게 어떤 도움을 줄 건가요? A. 식량부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지금 겨우 기후위기를 막고 있지만,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지면 햇빛만 쬐면 되니까요. Q. 마지막으로 할말이 있으신가요? A.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을 이어갔으면 좋겠어요. 어린이 여러분, 항상 꿈을 포기하지 마세요. 어과동 파이팅 ... ...
- [우주기자단] 최상현 선임연구원님과의 우주적 만남! / KAI, 한국항공우주산업기사 l20250712
- 배터리도 있습니다. 우주기자단 한 기자님이, 태양전지가 있는데 왜 배터리가 있냐고 물어보셨는데, 일식이나 월식 또는 지구에 햇빛이 가릴 때를 대비한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인공위성의 입과 코를 아직 말하지 않았는데요. 이것은 바로~~~ 안테나입니다. 안테나로 전파를 주고받기 때문에 입과 코라고 비유할 수 있는 것이죠. 기자님들이 하신 질문 중 ...
- [출동!기자단] 한국의 인공태양, KSTAR를 만나고오다!기사 l20250706
- 어린이과학동아 출동!기자단 김래오 기자입니다. 여름이라 그런지 햇빛이 뜨겁네요. 이 뜨거운 태양빛이 어디에서 오는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물질의 4번째 상태인 플라즈마 입니다. 태양에선 플라즈마는 약 1000만 도의 온도와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구에도 태양이 있는데요, 바로 ‘인공태양’입니다. 이번 출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가서기사 l20250701
- 다시 만들었습니다. 먼저 한국이 만든 것을 쏘고, 실패하면 미국과 함께 만든 것을 쏘아올리기로 했습니다. 다누리는 달에 영원히 햇빛이 안 드는 곳이 있는데 그 곳에 얼음이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 그것을 확인할 카메라를 NASA가 만들고 한국이 쏘았습니다. 그 다음 시험센터로 갔는데 그곳은 위성을 시험하고 조립하는 곳입니다. 먼저 궤도까지 갈 때와 ...
- 기사 l20250701
- 안테나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중 특별히 NASA에서 개발한 쉐도우 캠은 우연히 날짜가 맞아 다누리에 탑재할 수 있었던 카메라로, 햇빛이 없어 평범한 카메라로는 보이지 않는 환경에서 얼음이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어쩔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하지만, 다누리가 달의 앞과 뒤, 두면 모두 다 찍어야 하기에 달의 뒷면으로 간 순간 통신 및 데이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