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개
터널
지하도
둥굴
굴혈
소굴
숨는 곳
뉴스
"
굴
"(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추모의 글] 이름으로 기억되는 침팬지, 제인 구달의 유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25.10.02
방식으로 보전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름과 얼
굴
을 가진 존재로서의 침팬지는 단순한 ‘숫자 감소’라는 통계보다 훨씬 강력하게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플로와 그 자손이 위기에 처했다”는 이야기는 추상적인 멸종위기 종의 감소보다 훨씬 큰 ... ...
"1만2000년전 사막에 새겨진 낙타 그림, 오아시스 표지판 역할"
동아사이언스
l
2025.10.01
집단이 그렸다는 기존 가설을 뒤엎는 결과다. 사막 암각화 바로 아래에서 진행된 발
굴
작업 현장. 암각화 작업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1만2000년전 도구가 발견됐다. Sahout Rock Art and Archaeology Project 제공 해당 지역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오아시스의 흔적이 확인됐다. 구아그닌 연구원은 "고대 ... ...
[사이언스영상] 다람쥐 엄지에 숨은 진화의 비밀
SEIZE
l
2025.09.20
있었다. 엄지손톱이 설치류 조상에서 유래한 오래된 특징이란 뜻이다. 땅을 파거나
굴
에 사는 일부 설치류는 손톱 대신 발톱을 가지고 있었다. 설치류의 엄지손톱은 견과류를 먹는 데 도움이 됐을 거라고 분석됐다. 얇고 납작한 엄지손톱과 독특한 앞니 덕에 껍질이 단단한 견과류를 효율적으로 ... ...
[동물do감] 팔 8개 모두 활용하는 문어…앞팔은 탐색, 뒷팔은 이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남긴다는 점을 활용해 문어를 찾아내고 며칠간 활동을 관찰했다. 문어는 하루 약 80%를
굴
에서 보내며 하루에 한두번 정도만 먹이를 찾아 나선다. 연구에 포함된 문어 서식지는 모래바닥부터 산호초 숲까지 6종으로 다양했다. 연구팀은 돌 움직이기, 헤엄치기, 공격하기 등 문어가 서로 다른 행동 1 ... ...
로봇 농게가 집게발 흔들자 진짜 농게가 '기싸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수컷 농게가 로봇 농게를 공격해 집게발을 망가뜨리는 순간. Joe Wilde 제공 수컷 농게가
굴
에 있는 시간을 줄이고 집게발을 흔드는 시간을 늘리는 현상은 로봇 농게의 집게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더욱 두드러졌다. 반대로 로봇 농게의 집게발 크기가 더 큰 경우 이런 경향이 줄며 수컷 ... ...
[시민과학풀씨]④ 왕벚나무엔 어떤 해충이 살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8.03
잎에 피해를 주는 유형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굴
나방 등의 해충이 왕벚나무 잎에
굴
을 판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원정운 연구원은 “월별로 발생하는 곤충이 다르기 때문에, 몇 달 전엔 해충이 아니었던 것이 지금은 수가 늘어나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 되는 경우가 있다”며 ... ...
미국서 양식되는 태평양산
굴
최대 90% 파괴…바다 산성화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수 있다. 바다에 산 성분을 제거하는 첨단시설을 건설하거나 높은 산 수치에 내성이 있는
굴
을 사육하는 것도 해양 산성화의 폐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다만 해양에 화학적 변화를 가하는 것은 다른 생물종과 바다 환경에 의도치 않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 ...
드론으로 갯지렁이 수 확인…세계적 가치 한국 갯벌 연구 새 시대
과학동아
l
2025.06.14
갯벌 탐사 드론을 조종하고 있다. 드론으로 수만 장의 갯벌 사진을 촬영해 AI가 서식
굴
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학습시킨다. 과학동아제공 유 책임연구원이 보여준 이미지는 각각 인공위성 관측과 항공 촬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갯벌 조사에 굳이 비행기와 인공위성까지 동원해야 하냐고 물어보는 ... ...
지면 진동을 전류로 변환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17
툭툭 쳐서 진동을 일으켰습니다. 마침내 암컷 게가 자신이 사는
굴
가까이 다가왔을 땐
굴
속에 쏙 들어가서 집게발로 무언가를 두드려 아주 강한 진동을 만들어 냈습니다. 연구팀은 약 8000건 이상의 구애 행동과 진동 신호를 분석한 끝에 수컷 게들이 암컷이 가까이 올수록 더 큰 진동을 만든다는 ... ...
"동해 심해에서 중성미자 검출하자…韓, 입자물리학 선도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중성미자 검출기를 건설하는 계획은 전 세계에 전례가 없다. 일반적으로 깊은 지하에
굴
을 파고 중성미자 검출에 필요한 거대한 수조를 설치하는 미국이나 중국, 일본의 중성미자 검출기와 달리 이동이나 확장이 용이하다는 특장점이 있다. 동해에 중성미자 검출기가 건설되면 다른 중성미자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