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키
key
비법
열쇄
관건
건반
글자판
뉴스
"
열쇠
"(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고체 전지 상용화
열쇠
‘원자의 진동’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강용묵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왼쪽), 김재범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고체전해질 속 리튬이온의 움직임과 진동을 정밀하게 추적하고 제어해 전고체 전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강용묵 고려대 신소재 ... ...
변이로 '접힘' 불안정한 단백질 구조 회복 입증…희귀질환 치료
열쇠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톨밥탄(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V2R 구조와 결합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이미지. CREDIT/Taylor Mighell·Centro de Regulacion Genomica 우리 몸의 생명현상에 필수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3차원 구조로 '접힘'을 형성해야 제기능을 할 수 있다.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접힘 구조가 불안정해진 ... ...
노벨상 수상 '클릭화학'으로 수천만개 중 '딱맞는 약물'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9.18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에 게재됐다. 신약 개발은 흔히 ‘자물쇠에 꼭 맞는
열쇠
를 찾는 일’로 비유된다. 몸속에 있는 수많은 단백질 중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단백질만 무력화하는 약물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단백질에 달라붙으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연구팀은 ‘DNA ... ...
식욕·수면 등 '인간 본능' 비밀 풀
열쇠
로 떠오른 비만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5
식욕과 수면 같은 기본 욕구를 넘어 보상 행동과 각성 상태까지 아우르는 뇌 회로의
열쇠
로 보기 때문이다. 이런 연결점은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최근 한 연구에선 시상하부에는 배고픔을 유도하는 세포와 억제하는 세포가 따로 있지만 오렉신은 의외로 이 가운데 식욕 억제 세포를 ... ...
정부 "반도체·바이오·원자력 등 과학기술에 AI 결합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이상 기술 자체의 발전에 머물지 않고, 과학적 난제 해결과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의 핵심
열쇠
가 되고 있다"며 "정부는 한국형 AI for S&T 전략을 수립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생태계를 조성해 국가 전략 분야에서 초격차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워크숍에서 논의된 내용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다람쥐 엄지손톱에서 찾은 설치류 진화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치아, 턱의 진화와 맞물려 설치류가 단단한 씨앗과 견과류를 성공적으로 먹을 수 있게 한
열쇠
였다는 연구 결과를 5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척추동물의 앞다리는 다양한 형태로 진화했다. 사람의 손처럼 물건을 쥘 수 있는 도구가 되기도 하고 고래의 지느러미처럼 평평하고 거대한 ... ...
“굶지 않고 살 뺄까”…위고비·마운자로와 다른 비만치료 전략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굶지 않고도 체중 증가를 막을 수 있는 새로운 비만 치료 전략이 제시됐다. 갈색지방에서 발현된느 단백질을 활용한 체중 증가 억제 방안을 제시한 국제공동연구진. 바르셀로나생의학연구소(IRB) 제공 굶지 않고도 체중을 줄일 수 있을까. 비만에서 탈출하기 위한 대다수 사람들의 고민이다. 과학자 ... ...
대뇌피질 최하부 신경세포 규명…정신질환 이해
열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2
뇌의 가장 깊은 층에서 인지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세포의 정체가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뇌의 가장 깊은 층에서 인지 기능을 조절하는 신경세포의 정체가 처음으로 명확히 밝혀졌다. 자폐증이나 조현병 같은 정신질환의 원인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중요한 단서를 제공 ... ...
DNA 코팅 나노입자로 유전자교정 효율 3배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9.02
소장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전달체 설계가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혁신의
열쇠
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doi.org/10.1073/pnas.2426094122 ... ...
"파킨슨병, 장내 미생물이 조기 진단
열쇠
"…렘수면 행동장애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의 조기 진단에 장내 미생물이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킨슨병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의 조기 진단에 장내 미생물이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잠자는 동안 발차기나 고함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