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뉴스
"
자손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번개 맞으면 더 잘사는 나무…"주변 나무 감전시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번개를 2번이나 맞았다. 번개에 대한 내성과 이를 통해 얻는 이득이 알멘드로 나무의
자손
생산 능력을 14배까지 높일 것으로 예측됐다. 고라 연구원은 "번개에 맞으면 이득을 보는 나무에 대한 최초의 증거"라며 "알멘드로 나무는 번개를 맞는 편이 더 낫다"고 설명했다. 향후 연구팀은 알멘드로 ... ...
[동물do감] 똑똑할수록 짝짓기 확률 올라가는 송사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결과 테스트를 잘 통과한 똑똑한 수컷이 암컷과 더 많이 교미하며 궁극적으로 더 많은
자손
을 낳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똑똑한 수컷이 암컷을 잘 쟁취하는지, 암컷이 똑똑한 수컷을 선호하는지는 불분명하다”며 “하지만 똑똑한 수컷이 짝짓기 기회를 획득하는 데 유리한 점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다 생태계 감시자 코끼리물범
동아사이언스
l
2025.02.16
이번 연구에서 물범이 성체가 된 어류들을 사냥하는 데 성공하면 해당 어류 종들의
자손
개체 수에 엄청난 변동이 일어난다는 점도 확인됐다. 기후 변화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 조건이 악화되면 포식자인 물범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해 물고기 개체 수에도 영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규제를 만들었다. 그물 크기를 정해 일정 크기 미만인 개체는 빠져나가게 하고 일정 수의
자손
을 낳을 생물량을 유지하는 선에서 어획량을 정했다. 이런 조치에도 세계 곳곳에서 어장이 붕괴했고 그 원인을 밝히는 과정에서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많은 어류는 나이가 들어 덩치가 커지면서 ... ...
미끌미끌한 미역 출생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23
보통 해조류라고 합니다. 미역은 암수 구분 없이
자손
을 만드는 무성생식, 암수가 만나
자손
을 만드는 유성생식을 동시에 합니다. 이러한 생식을 '세대교번'이라고 합니다. 미역 성체에서는 '유주자'라는 포자가 나오고 유주자가 성장해 성별에 따라 남배우체나 여배우체로 자라나요. 남배우체의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성숙하면 소지경에서 쉽게 떨어져 흩어지는데 이를 '탈립성이 크다'고 말한다. 그래야
자손
을 널리 퍼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낟알과 벼 이삭 지경을 연결하는 소지경이 잘린 흔적(왼쪽)과 낟알을 떼어낼 때 홈날연모가 사용된 흔적(오른쪽)은 청주소로리볍씨가 순화벼임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다 ... ...
[동물do감] 청각 잃은 모기, 짝짓기 흥미도 잃어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뒤 풀어주는 ‘불임충 방사법(SIT)’이 사용되고 있다. 암컷이 불임 수컷과 짝짓기를 하면
자손
을 퍼트릴 수 없다. 하지만 이 기술만으로는 개체 수가 충분히 억제되지 않는다. 연구팀은 “청각이 짝짓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TRPVa가 청각에 관여한다는 점은 이집트숲모기뿐 아니라 다른 모기 ... ...
농경사회 전에도 파스타 소화 능력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전분은 복잡한 형태의 탄수화물로 파스타·빵 등 주로 곡물을 활용한 음식에 많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류의 발전을 이끈 농업이 시행되기 전부터 인 ... 분석된다. 연구팀은 "AMY1 유전자가 많은 개체는 전분을 더 효율적으로 소화하고 더 많은
자손
을 낳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
열 잘 견디는 산호 개량 가능하지만…"온난화 속도 더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육종을 해왔다. 연구팀은 같은 원리로 내열성이 높은 부모 군집을 반복 선택하면
자손
의 열 내성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론적으로 산호의 내열성은 한 세대에 약 1℃씩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정도로는 예상되는 수온 상승 속도를 따라잡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산호는 ... ...
[동물do감] 물고기 임신하면 '머뭇머뭇‘ 망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임신한 물고기가 불확실한 냄새 정보를 바탕으로 먹이를 찾는 위험을 감수하기보다는
자손
번창을 위한 에너지 보존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임신은 물고기의 뇌 세포 증식에 변화를 일으키고 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는 임신 시 학습력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