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천연
우주
만물
산수
산림
생태계
뉴스
"
자연계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합성생물학 도약 기회…바이러스 만드는 '악용' 막는 규제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생명과학(바이오)을 융합한 연구 분야다. 유전자, 세포 등을 공학적으로 재설계해
자연계
에 없던 새로운 생물학적 구성요소나 생명체를 창조하는 학문이다. 합성생물학은 기존 의약품보다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거나 석유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 연료, 극한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식물, ... ...
효과 우수한 '생물학 제제' 권위자 "신약 개발, 상업가치 철저히 따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중 한 곳인 ‘펩티드림’과 ‘미라바이올로직스’를 설립했다. 히로아키 교수는
자연계
에 존재하지 않는 분자들을 1조 가지 이상 합성하고 이 중 생물학적 활성을 낼 수 있는 분자를 빠르게 검색해 효과적인 약물 후보를 찾아내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펩타이드(아미노산으로 연결된 짧은 ... ...
인공태양 원료 리튬-6 친환경 생산 길 열어...핵융합 연구 판도 흔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육안으로 확인했다. 실험 결과 제타-바나듐 기반 공정은 단 한번의 분리 공정으로
자연계
리튬에서 리튬-6의 농도를 5.7%로 증가시켰다. 핵융합 원료를 만드는 데 적합한 농도 30% 이상의 리튬-6를 얻기 위해선 이 공정을 25회 반복해야 한다. 45회 반복하면 90% 이상의 고농도 원료를 얻을 수 있는 ... ...
국제우주정거장의 멸균 환경, 우주 비행사 건강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25.02.28
1저자인 로돌포 살리도 UC 샌디에이고 연구원은 “우주 환경을 철저히 멸균하는 것보다
자연계
에서 유익한 미생물을 도입해 보다 균형 잡힌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향후 연구팀은 우주 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과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를 보다 정밀하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성형AI로 만든 '
자연계
없는 단백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보인다. 과학자들이 원하는 형태의 특정한 단백질을 만드는 것은 학계에서 중요하다.
자연계
에 존재하지 않는 단백질은 특정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맞춤형 단백질 치료제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단백질을 만들면 새로운 암 치료법 전략을 ... ...
노벨화학상 베이커 교수팀, AI로 '100% 인공' 효소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이번 연구에 대해 노엘리아 페루즈 스페인 유전체조절센터 연구원은 "AI 도구가 언젠가
자연계
에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화학반응을 일으킬 효소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며 "무엇이든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계는 오직 상상력"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ence.adu245 ... ...
0.01나노미터 정밀 조절로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다공성 물질의 기공을 0.01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단위로 조절하는 기술이 나왔다.
자연계
전체 수소 중 0.015%만 존재하면서 일반 수소와 성질이 비슷해 분리가 까다로운 중수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다.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핵융합발전, 반도체공정 등에 쓰일 수 있는 핵심 자원이다 ... ...
양자컴퓨팅으로 복잡한 유체 난류 시뮬레이션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거의 불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양자컴퓨팅 알고리즘으로 복잡한
자연계
문제인 난류(turbulent flow)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복잡한 시스템을 확률론적으로 시뮬레이션해 계산 비용을 줄이고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평가다. 니키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후기 이래 수만 년 동안 인류의 개입과 기후변화로 젊은이의 세계가 된 야생
자연계
를 원래의 나이 구조로 회복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21세기에도 인간 사회와는 달리 동물 사회는 여전히 노령 개체의 지혜가 큰 힘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고기가 온도 변화를 견디는 능력은 생애 단계에 따라 ... ...
KAIST 정시 지원자 38% 급감…의대증원 여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대전 유성구에 있는 KAIST 전경. KAIST 제공 KAIST의 2025학년도 정시모집 지원자가 지난해보다 37.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정원이 한꺼번 ... 2022년 개교 이후 최저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정원 확대가 최상위권
자연계
와 과학기술원 지원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