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풍
스타일
주의
식
여과기
sieve
뉴스
"
체
"(으)로 총 758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한 습관과 유전자, 117세 '최고령자' 장수의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5.10.05
생활 방식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됐다. 브라냐스는 지중해식 식단을 따랐고 과
체
중이 아니었으며 흡연과 음주를 하지 않았다. 2000년대 초반까지 매일 한시간씩 걸었다. 그는 2001년 이후로는 혼자 살았지만 가족과 같은 마을에 살았고 늘 친구들이 곁에 있을 만큼 양호한 사교 생활을 했다. 5년 ... ...
단일세포 빅데이터 장착한 SCL사이언스… KAIST와 손잡고 암 백신 승부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실현 가능하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네오안티젠 기반 암 백신, 키메릭항원수용
체
(CAR)-T 세포치료제, AI 기반 신약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멀티오믹스 및 단일세포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정밀의료 임상시험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 ...
건설연, 동남아 홍수 예보 정확도 높일 '스마트 목자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지하공간 등 도심 지역에 적합한 모듈형 제품으로 확대 개발할 계획이다. 국내 지자
체
뿐 아니라 국제기구 및 해외 도시와의 협력을 통해 세계 시장 진출도 본격화할 방침이다. 박선규 건설연 원장은 ”개발한 스마트 목자판 기술은 개발도상국들의 홍수 피해 저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 ...
현미경으로 확인 어려운 '미토콘드리아 정밀 구조'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연구팀은 "이번 성과는 근접분자 표지 기술의 한계를 넘어 두 미세 공간 사이 단백질
체
분포를 밝힐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20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38/s41467-025-62756- ... ...
MBTI, 참을 수 없는 인간 분류의 가벼움
2025.09.20
덕분에 오랫동안 존속했다. 어떤 이유든 하나의 분류
체
계를 정하게 되면 그 분류
체
계는 도구가 되는 동시에 자신을 재단하는 틀이 된다. 내 행동이 MBTI 성격 유형과 일치하면 그에 따라 내 편견을 강화할 것이고 일치하지 않으면 무의식중에 자기 행동을 조정할지도 모른다. 필자가 MBTI 검사를 ... ...
[씨즈더퓨처] 양자역학 100주년…"인류는 100년간 양자역학 표면만 긁었다"
SEIZE
l
2025.09.16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박 교수가 던진 키워드는 '일반 인공지능'과 '상온 초전도
체
'다. 자세한 내용은 9월 15일 업로드된 영상 ‘언제요 딥토크 1화 - 양자역학이 만들 100년 뒤 미래’에서 확인해 보자. 언제요 딥토크 1화 - 양자역학이 만들 100년 뒤 미래 언제요 딥토크 1화 - 양자역학이 만들 100년 ... ...
쥐 뇌에서 찾은 '욕망의 다이얼'…부작용 없는 비만치료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가 바로 이 BNST 신경세포를 표적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세마글루타이드는 강력한
체
중 감량 효과가 있지만 메스꺼움 등 부작용의 불편함이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부작용 없이 섭취 욕구만 억제하는 새로운 약물 개발의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 ...
이동형 중환자실 'SMICU', 10년간 중증응급환자 9000명 살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4
이송 작업, 재외 국민 대상으로 항공 연계 이송 작업 등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체
외막산소공급장치(ECMO) 병원 간 이송 전문팀 운영을 준비 중이다. 생존율 향상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암 유전자 켜고 끄는 스위치 발견…맞춤형 항암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9.01
스위치’ 역할을 한다. 반대로 전사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RNA의 4중나선 구조는 SP1을 응축
체
밖으로 밀어내 유전자 발현을 멈추는 ‘OFF 스위치’로 작동했다. 연구팀은 또 구아닌과 RNA의 4중나선에 달라붙는 약물을 이용해 유전자 발현을 강하게 만들거나 약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 ...
뇌 깊숙이 약물 전달하는 무선 장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8.28
조절할 수 있다. 연구팀은 장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아가로스젤로 만든 뇌 모사
체
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약물이 역류 없이 일정한 속도로 전달되는 결과를 보였다. 뇌 삽입형 무선 마이크로펌프 기반 정밀 약물 전달 시스템 개략도. DGIST 제공. 무선 신호에 따라 주입 속도와 용량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