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물리학"(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케마티카)를 개발한 화학 석학이며, 프랑수아 앙블라르 연구위원은 수학, 생물학, 물리학을 전공한 박학다식한 연구자이다. 조 그룹리더도 화학공학, 재료공학을 전공하고 생명공학 분야에서 질병진단 기술을 개발해 왔다. 조 그룹리더는 "사실 처음에는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에서 함께 연구할 ...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양자컴퓨터 개념, 물리학자가 고안하다 양자컴퓨터의 개념을 처음 제시한 사람은 유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다. 그는 1983년 양자계를 연구할 때 현재 컴퓨터는 막대한 계산량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양자계를 모방한 새로운 차원의 계산도구를 이용하면 결과를 도출하기 쉬워질 것이라고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보람을 느끼면서 동시에 많은 후배들이 이 길에 동참했으면 한다는 바람도 내비쳤다. 핵물리학이론을 전공한 최숙 연구위원은 "이론물리 전공자가 실제 가속기라는 실험 장치를 만드는 일에 참여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일을 하다 보니 굉장히 재미있다"고 말했다. 그는 장치가 다 구축되고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더욱 필요해지고 있는 것이다. IBS 산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박형주 소장은 "20세기에는 물리학이 수학의 발전에 영향을 줬듯, 21세기에는 전산학이 수학 연구의 방향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본다. 전산학에 새로운 기법의 추상적 사유와 수학에 대한 연구가 결합돼야 빠르고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행사장에는 고등학생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전날보다 많이 늘어났다. 세계적인 기후물리학 권위자 액슬 티머먼(Axel Timmermann) 하와이대 교수가 '초기 인류 대이동의 천문학적 요인'을 주제로 강연에 나섰고, 뒤이어 IBM 알마덴 연구소의 주사터널링 현미경(STM) 실험실을 이끌었던 나노과학의 대가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실제로 근원적인 물리법칙에서도 따져보면 좋은 정보와 나쁜 정보가 있다는 뜻이다. 물리학에서 다루는 범위는 원자, 소립자, 끈 등의 단위에서 들어가는 정보가 어떻게 되느냐를 다룬다. 지금 이 단장은 120여쪽의 논문을 쓰고 있는데, 이 논문도 정보에 관한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그는 "맨 처음에 ...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노래에 등장하는 소절을 논문에 인용한 숫자는 163개에 달했다고 한다. 미국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는 2015년 출간된 자신의 책 제목을 딜런의 노래 제목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Knockin' on Heaven's Door)'로 정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과학자들이 딜런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도 ... ...
-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IBS l2016.10.31
- 서로서로 구체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이 연구단에서는 가능하다. 유 연구위원은 “물리학의 새 지평을 열 연구의 시작과 끝을 한 연구단에서 모두 수행하는 것은 연구단의 국제적인 경쟁력 측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으로의 초강력 레이저 개발을 주도하고 ...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IBS l2016.10.04
- 4명 가운데 1명은 가속기를 활용한 과학적 발견을 통해 그 영예를 안았다. 가속기는 현대 물리학과 기초과학의 최전선이다. 빅뱅 후 일어난 우주의 다양한 현상을 규명하는 것은 물론 암 치료와 신소재 개발 등 의료·산업 분야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첨단 장비이자 연구시설이다. 전 세계 강대국은 더 ...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IBS l2016.09.01
- 성과에 대해 '생물학을 세포만큼 투명하게(transparent) 만들었다'고 표현했다. 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부임한 2009년부터 바이오 이미징 분야에서 잇달아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무질서한 매질을 이용해 회절 한계를 극복하는 한편, 이런 매질을 일반 렌즈처럼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