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혜
슬기
재치
예지
분별력
영리
약삭빠름
스페셜
"
현명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틀렸을 가능성을 생각하는 '지혜로운 사람'
2025.09.13
쉽게 괘씸해하지만 그 사람에게 어떤 남모를 질병이나 힘듦이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현명
함은 이렇게 우리 지식과 인식의 범위를 넘어서는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어떤 사람이나 행동이 옳거나 그르다고 쉽게 판단하지 않는 것을 전제한다. 물론 시시각각 변하는 트렌드나 유행에 따라 이번에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래 기술 거부하는 'GMO 완전 표시제'
2025.02.26
biodiversity) 감소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인류가 선택한 농작물과 가축이 가장
현명
한 선택이었던 것도 아니다. 농경·목축에 의존하는 인류에게 감염병·영양불균형·식량부족 등의 감당하기 어려운 부작용도 발생했다. 유발 하라리가 1만2000년 전의 1차 농업혁명을 '사기극'이라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참담한 여객기 사고…사라지지 않는 안전불감증
2025.01.15
논리에 따라 부실하게 들어선 영세 공항의 안전성 강화를 강조하려면 '무안공항 사고'도
현명
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지역에 대한 차별이나 혐오를 부추긴다고 열을 올릴 일이 아니다. '이태원 참사'도 기억해야 한다. 사실 평소에 관심도 없었던 국제기구의 어설픈 관행을 들먹이는 것은 설득력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친구 추천'으로 정보 효과적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사회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씨앗'이 그려졌다. 지식이나 메시지를 퍼뜨리는 사람을
현명
하게 선택하면 인구 전체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보다 비용을 훨씬 아끼면서 인류 복지를 향상할 수 있다. 니콜라스 크리스타키스 미국 예일대 네트워크 과학연구소 교수팀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기능을 활용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하고 배수 시설도 마련해 놓아야만 한다. 가로수를 위한 보호막을 설치하는 것도
현명
한 대책이 될 수 있다. 결국 배수로가 갖춰져 있지 않은 도로에서는 화학적 제설이 적절하지 않다는 뜻이다. 제설제를 뿌린 도로를 주행한 자동차의 세차도 중요하다. 무작정 제설제를 탓하는 것은 합리적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있다. 수돗물 불소화 사업은 재개되어야 한다.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불소의
현명
한 활용과 적정한 규제 그렇다고 산업 현장이나 일상생활에서 ‘불소’를 완전히 퇴출해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불소 화합물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해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과 제도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과도한 자연 의존도를 줄여서 자연 생태계로부터의 자립을 꿈꾸면서 자연의 변화에
현명
하게 ‘적응(適應)’하기 위해 노력할 수 있을 뿐이다. 탄소에 대한 공연한 악마화와 거부감이 자칫 우리의 절박한 노력에 독(毒)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겸손한 인식이 필요하다. 탄소는 우리가 거부해야할 ... ...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연구자와 엔지니어들의 노력의 결과”라며 “트랜지스터 발명이 가져온 과학과 기술을
현명
하게 활용한다면 활용 기술 범위가 계속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
2022.09.24
것보다 내 상황을 분명하게 전달하고 미리 함께 일을 조율하는 것이 모두를 위해 훨씬
현명
한 선택인데도 생각보다 입을 여는 것이 쉽지 않았다. 혼자 끙끙 거리며 무리하는 것보다 주변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 더 어렵게 느껴지기도 했다. 서로 돕고 도우며 사는 것이라고들 하는데 도움을 구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과다 소비로 목숨을 잃는 사람은 한 해에 3만 명을 넘지 않는다. 발암물질에 대한
현명
한 대응 인체나 동물에서 발암성이 확인된 발암물질을 애써 섭취·접촉·흡입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우리가 언제나 발암성이 의심되는 화학물질·매개체·환경요인을 철저하게 회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