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301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르스 확산 비상]“3차 감염 우려… 대유행은 없을듯”
동아일보
l
2015.06.01
“중국에 간 환자가 확진됐기 때문에 (최초 환자가 입원한 병원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사람
들에게 노출된 상황이다. 3차 감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김우주 교수 고려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3차 감염자가 나올 개연성이 있지만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 ...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전자기록 의무화? 쓰는
사람
못봐”
2015.06.01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전자연구노트를 도입해 연구과정을 기록하는 데 이용하고 있다. 전자연구노트는 기록을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하고 검색을 통해 이전 기록에 접근하는 데 유리하다. 신용범 책임연구원(왼쪽)이 지난달 29일 전자노트를 작성하고 있다. - 대전=김재명 동아일보 기자 base@donga.com ... ...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3조원 투입되는 출연연 R&D 기록 주먹구구
2015.06.01
ETRI)의 한 선임연구원은 “전자노트 사용이 의무화돼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
을 거의 못 봤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래부 관계자는 “연간 R&D 과제만 5만 개에 이르는 만큼 부처가 연구노트를 일일이 관리할 수 없어 기관 자율에 맡기고 있다”면서 “당분간 특별한 개선 계획은 없다”고 ... ...
탄수화물은 뇌에 정말 나쁠까요?
2015.05.31
앓던 60대 환자와, 우울증을 앓던 30대 환자에게 글루텐이 없는 식사를 제공하자 건강한
사람
의 뇌와 차이가 사라진 뇌 영상 사진을 근거로 제시했다. 건강한 식재료의 이미지가 강한 통곡물이 몸에 오히려 안 좋을 수도 있다는 저자의 의견은 색다르게 다가온다. 저자는 뇌 건강에 영향을 ... ...
장수하려면 저단백-고탄수화물? 고단백-저탄수화물 아니고?
2015.05.31
탄수화물 비율이 높고 단백질 비율이 적은 식이요법이 장수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Pixabay 제공 다이어트를 위해 식사량을 줄이는 ... 것이 장점”이라며 “이번 연구는 쥐를 대상으로 8주라는 단기간에 진행했기 때문에
사람
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당신의 태도가 연봉을 결정한다
2015.05.31
다른
사람
을 믿지 못하는 편이어서 협력하는 업무를 잘 해내지 못한다”며 “다른
사람
들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과도하게 몰두한 결과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 ...
나는 왜 생물학을 공부하는가
2015.05.31
작은 사회다. 이 사회의 법칙을 깨는 존재가 암세포다. 강연을 들으면서 이런 생각을 한
사람
은 필자 뿐만이 아닐 터. 카오스 강연 시리지를 기획한 이기형 카오스재단 이사장은 올해 2월 설립 기자간담회에서 과학 대중 강연을 통해 “과학적, 합리적 사고가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05.29
필요하다. 신진수 지질연 지진연구센터 실장은 “현재 우리나라 기술로는 지진 발생부터
사람
들에게 경보가 전해지기까지 약 1~2분이 걸린다”며 “올해 안에 50초 이내로, 2020년까지 10초 이내로 줄이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참고로 관측소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많은 일본은 지진이 발생한 뒤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의존하지 않아도 됐기 때문이다. 움직임은 자유와 관련이 크다. 손쉬운 3차원 경험은
사람
들에게 자유와 상상력을 줄 것이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6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05.29
때는 이의 4분의 1인 50kg 이하로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는 크랩스터를 진수하기 전
사람
손으로 부력재를 붙인다. 그러나 수중 모드 전환은 시간 문제다. 전봉환 실장은 “부력조절장치를 탑재해 물 속에서 자유자재로 헤엄치다가 걷기도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
이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