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후폭풍이 거셌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이 유전자 교정 기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연구들이 발표됐습니다. 디자이너 베이비가 돌연변이 등으로 또 다른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올해 2월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귀금속 하면 금, 금 하면 귀금속...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줄곧 금은 귀금속의 대명사였다. 금이 비단 귀금속으로써의 가치만 지닌 것은 아니다. 사실 ... 무기화학과 나노화학을 가르치고 있다. 플라스모닉스를 비롯해 금속나노화학, 나노바이오기술 분야를 연구 중이다. jmnam@snu.ac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 있을 만큼 쉽게 설계했다”고 말했다. 내년에 개최될 제3회 AI 월드컵은 올해보다 기술적으로 한 단계 더 까다롭게 설계될 가능성이 크다. 김 교수는 “경기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도록 소프트웨어에서 경기 규칙 등 복잡도를 높일 계획”이라며 “이 소프트웨어는 로봇을 실제로 제작하기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판단하려면, 그 전에 인간이란 무엇인지부터 정의해야 합니다. 인공지능이나 사이보그 기술이 계속 발달한다면, 인간의 정의가 오히려 점점 넓어질 수도 있겠지요. 인간도 영생을 누릴 수 있게 된다면, 앤드류는 인간임을 인정받기 위해 굳이 목숨을 버릴 필요가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고호관.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필터링협업 필터링은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들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서로에게 추천하는 기술이에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를 찾기 위해선 ‘유사도’를 구해야 합니다. 유사도를 구하는 방법은 유클리드 거리, 피어슨 상관관계, 타니모토 계수 등 다양하지만, 오늘은 ‘코사인 유사도’에 관해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됐습니다. 참고자료 세르게이 노린, 쑹쯔샤 ‘Breaking the degeneracybarrier for coloring graphs with no Kt minor’, 영문 위키백과 ‘하트비거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나타내기 위해서는 ‘등위집합’을 알아야 해. 등위집합은 유체의 움직임을 수학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의 하나야. 바람이나 불의 모양을 한번 생각해봐. 수많은 곡선으로 이뤄져 있지? 이 곡선들은 모여서 곡면을 만드는데, 곡면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그 위의 점들을 일일이 추적하는 방법이 있어.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의 연구실에는 거대한 냉장고 4대가 놓여 있다. 냉장고 안에는 음식 대신 이차전지가 빼곡하게 들어차 있다. 이 교수는 “한번 쓰고 버려야 하는 일차전지와 달리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차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결정하는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생명윤리 논란을 야기했다.많은 성과를 낳은 또 한 번의 10년이 마무리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성과는 시계 태엽처럼 딱딱 맞춰서 움직이지 않는다. 연구개발(R&D)의 성공 뒤에는 쉽게 세기 힘들 정도로 거듭된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더 큰 ... ...
- [과학뉴스] 실험동물 희생은 그만, 이제는 ‘장기 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더욱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논문 제1저자인 장경진 에뮬레이트 부사장은 “장기 칩 기술은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고, 동물실험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x551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